매일신문

[세풍] 의식<意識>의 역병<疫病>

한 시대를 풍미한 전염병에는 당대 사회구성원의 인식과 문화적인 담론이 반영되어 있다. 조선시대에 유행했던 무서운 전염병들은 처음에는 '괴질'(怪疾)로 불렸다. 병명이 없다는 것은 그 질병에 대한 무지와 속수무책, 그에 따른 두려움을 시사한다. 근대 의학이 발달하기 전의 전염병은 그저 하늘이 내리는 재난에 다름 아니었던 것이다. 콜레라와 천연두, 말라리아, 홍역 등이 그랬다. 근대화와 함께 이들 전염병에 대한 개념과 치료 방법이 자리를 잡게 되지만, 민간에서는 오랜 세월 귀신이 붙어 있다는 민중의 경외감 등이 따라다녔다.

200년 전 조선땅에 처음 나타나 한꺼번에 수십만 명의 목숨을 앗아가기도 한 콜레라는 한자로 음역한 호열자(虎列刺)란 이름으로 맹위를 떨쳤다. 문자 그대로 '호랑이가 살점을 찢어내는 듯한 고통'과 함께 죽음으로 몰아가는 돌림병이었다. 온몸이 타는 고통을 겪으며 시름시름 앓다가 죽게 되는 장티푸스도 마찬가지였다. 얼마나 지독했으면 '염병할 놈'이란 끔찍한 욕설이 다 생겼을까. 학질(말라리아)은 한기와 고열을 반복하는 지긋지긋함 때문에 '학을 뗐다'는 말을 파생시켰으며, 공포의 대상이었던 천연두에는 '마마'라는 극존칭이 붙었다.

전염병의 창궐은 동서고금을 막론한다. 14세기 유럽 인구의 3분의 1을 앗아간 흑사병, 16세기 신대륙의 아즈텍, 잉카 문명의 멸망을 초래한 천연두, 19세기의 결핵과 콜레라, 20세기의 스페인 독감, 21세기 들어 발생한 에이즈는 물론 얼마 전에 유행한 사스(SARS)와 조류독감(AI), 신종플루에서 오늘의 메르스에 이르기까지. 전염병은 향상된 인류의 의료 수준을 비웃듯이 진화와 변이를 거듭하며 인체를 위협한다.

더구나 질병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공포는 온갖 미신과 루머를 양산하며 엉뚱한 사태로 비화되기도 했다. 중세 흑사병이 유행할 때 마녀사냥이 그 한 사례이다. 질병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감이 빚어낸 일들이다. 메르스가 온 나라를 사로잡고 있는 지금도 예외는 아닌 듯하다. 메르스 공포 때문에 빚어지는 역기능이 숱하다. 세계보건기구 등 외국의 전문가들이 의외의 난리법석에 오히려 의아해하고, 국내의 의료진도 "공기 전염이 어려우며, 독감보다도 위험하지 않다"는 진단을 내놓지만, 사람들은 아랑곳하지 않는다.

'메르스'로 불리는 중동호흡기증후군은 따지고 보면 괴질도 아니다. 3년 전에 이미 정체가 밝혀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금은 21세기 첨단의학의 시대가 아닌가. 그런데도 우리 사회는 근거 없는 대중정보에 부화뇌동하는 습성을 버리지 못한다. 2008년 광우병 파동이 그 적나라한 증거이다. 미국산 쇠고기를 먹고 인간 광우병에 걸릴 확률이 로또 당첨보다 어려운데도 촛불을 들고 정권타도를 외쳤다. 역병에 대한 의식이 아직도 전근대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 것일까. 이유가 없는 것은 아니다. 메르스 환자 발생 당시 초동대처에 실패한 것도 모자라, 시종일관 허둥대기만 하는 당국에 대한 불신 때문이다. 생각보다 빠른 메르스의 전파력과 치료약이 없는 것도 한몫했다.

인간과 질병은 공존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메르스 창궐에서 보듯이 의학이 발달한 현대사회에도 전염병의 공포는 엄존한다. 전염병이 없는 시대는 영원히 오지 않을 수도 있다. 에이즈나 광우병과 같이 인간의 탐욕과 생태계의 파괴는 더 진화된 전염병을 초래할 것이다. 문제는 여기에 대응하는 사회적 시스템이다. 사태가 터질 때마다 재확인되는 정부의 대응능력 부재와 관료사회의 경직성, 국가 위기상황에도 당리당략에 매몰되어 대안없는 반대나 일삼는 정치권, 국가의 이익이나 사회 전체의 안전을 도외시한 채 여과없는 보도와 논평으로 혼란을 가중시키는 언론, 과민 반응으로 일상을 훼손하고 국가 경제를 왜곡시키는 대중의 행태…. 도무지 항체 형성조차 잊어버린 듯한 이 '의식의 역병'이 우리 사회에 메르스보다 더 무서운 괴질을 만들고 있는지도 모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