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관련자로 분류된 사람들의 마지막 가는 길이 외롭다. '메르스 관련'으로 지목된 뒤 사망하면서 고향에서 장례를 치르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는 것이다.
15일 오전 청송군보건의료원 장례식장에 전화가 걸려왔다. 이날 오전 8시쯤 평택의 한 요양원에서 숨진 황모(83) 할머니 유족이 할머니의 고향인 청송에서 장례를 치르고 싶다는 내용이었다.
황 할머니는 지난 11일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평택굿모닝병원 간병인 126번(70) 환자와 밀접 접촉자로 분리돼 의료진 등 33명과 함께 자택격리 중이었다. 할머니는 이 병원에 심장과 폐질환으로 입원했었고 1차 검사에서는 '음성'을 받았었다.
청송군은 간부회의까지 열어 이 안건을 논의한 끝에 할머니 가족을 설득, '청송에서 장례를 치를 수 없다'는 방침을 최종 통보했다. 지역사회가 혼란에 빠질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지난 9일 간암 투병 중 안동시내 한 병원에서 사망한 영양 입암면 김모(70) 씨의 장례식도 고향이 아닌 안동에서 치러지는 안타까운 일이 벌어졌다.
김 씨의 미망인 권모(59) 씨가 안동의료원에서 메르스 의심환자로 격리된 상태였기 때문이었다. 권 씨는 지난달 27일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 있던 남편을 찾아갔다가 3일 뒤 남편과 함께 메르스 능동감시자 통보를 받았으며 9일엔 발열 증세를 보여 안동시보건소에 격리조치됐다.
이 과정에서 남편 김 씨는 9일 오후 3시쯤 사망했다. 평상시라면 김 씨의 장례는 고향 영양에서 친지'친구와 이웃의 조문을 받으면서 치러졌겠지만, 안동에서 가족들끼리 쓸쓸히 장례를 치러야 했다. 김 씨는 결국 부인 권 씨가 최종 음성 판정을 받고 나서 고향마을이 내려다보이는 뒷산 자락에 보금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영양 엄재진 기자 2000jin@msnet.co.kr
청송 전종훈 기자 cjh49@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