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메르스 확진 환자 발생 이후에도 대구의 방역 대책이 겉돌고 있다.
첫 환자인 K씨 관리 여부를 둘러싸고 중앙 정부 소속 질병관리본부와 대구시 보건소가 진실 공방을 벌이고 있으며 메르스 의심 환자에 대한 대응도 원활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당초 대구시와 남구청은 K씨의 누나가 10일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지만 관리 매뉴얼에 따른 통보를 질병관리본부에서 K씨 본인이나 관할 남구보건소에 하지 않아 미처 K씨의 삼성서울병원 방문 사실을 몰랐다고 밝혔다.
대구시 관계자는 "K씨와 함께 삼성서울병원을 찾은 K씨 누나가 10일 확진 판정을 받았지만 전혀 통보를 받지 못했다"며 "질병관리본부가 밀접 접촉자를 미처 파악하지 못했거나 잠복기가 지났다고 판단, 통보를 안 한 게 아니냐는 추측만 할 뿐 이유를 알지 못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16일 질병관리본부는 역학조사를 통해 확인한 내용을 남구보건소와 가족에게 통보했다고 반박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확진을 받은 K씨 누나의 동선을 파악한 뒤 함께 병원을 찾은 가족에게 알렸다"고 주장했다.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한 의심 환자 관리를 두고 중앙과 지방이 진실 공방을 벌이고 있는 셈이다.
K씨 외에 또 다른 메르스 의심 환자들에 대한 관리도 허술하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15일 삼성서울병원에서 간 수술을 받은 의심환자 A(64) 씨가 영양제를 받으러 동네 의원을 찾았다 감기 증상이 있자 의원 측에서 보건소에 신고한 뒤 종합병원으로 가라며 A씨를 돌려 보냈다. 하지만 해당 남구보건소는 직접 방문하게 돼 있는 관리 원칙을 어기고 A씨에 대해 전화 문의만 했고 A씨는 16일 새벽 차를 몰고 삼성서울병원으로 올라갔다.
K씨가 근무했던 대명3동 주민센터를 방문한 주민들에게 자진 신고를 부탁해놓고서 정작 신고자에 대해 안이하게 대응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달 9일 인감증명서를 발급받기 위해 이곳 주민센터를 방문했던 L(34) 씨는 16일 불안한 마음에 남구보건소에 자가격리 등 문의를 했다가 황당한 얘기를 들었다. L씨는 "남구보건소에 자가격리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전화를 했다가 '단순 업무를 위한 방문은 상관없다. 괜찮다'는 답변을 들었다"며 "적어도 내 인적사항이라도 받아놔야 하는 것 아니냐, 확진 환자와 같은 공간에 있었다는 사실만으로도 관심을 가져야 하는 거 아니냐"고 말했다.
이호준 기자 hoper@msnet.co.kr
노경석 기자 nks@msnet.co.kr
서광호 기자 kozm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