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염색 공정 효율성 향상 응용기술 개발 승부수"

윤남식 신임 다이텍연구원 원장

사진=17일 취임한 윤남식 다이텍연구원 신임 원장이 섬유 기술 개발과 다이텍연구원의 역량 강화를 포부로 내세웠다. 홍준헌 기자
사진=17일 취임한 윤남식 다이텍연구원 신임 원장이 섬유 기술 개발과 다이텍연구원의 역량 강화를 포부로 내세웠다. 홍준헌 기자

지난 3개월 동안 공석이던 신임 다이텍연구원 원장직에 윤남식(58) 경북대 섬유시스템공학과 교수가 선임됐다. 다이텍에 따르면 16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달 2일 다이텍연구원이 원장 후보로 제출한 윤 교수를 최종 승인했다. 윤 신임 원장의 임기는 이달 17일부터 2018년 6월 16일까지다.

윤 원장은 1988년 경북대학교 유기공업화학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경북대학교 섬유시스템공학과 교수, 경북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장, 한국염색가공학회장 등을 역임한 염색 전문가다. 최근 다이텍연구원과 C-패션 사업 업무협약을 맺은 제일모직에서도 1982년부터 2년 동안 기술연구원으로 몸담았다.

그는 올 3월 우리나라 섬유 염색 산업이 다른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쇠퇴하는 모습을 두고 볼 수 없어 다이텍 원장직에 과감히 지원했다고 포부를 밝혔다. 윤 원장은 "섬유 산업은 노동집약적 성격을 띠다 보니 그 무게 중심이 중국에 이어 베트남'인도로 옮겨갔다. 저가 시장에서 경쟁하는 것은 더는 의미가 없다"며 "우리는 원사부터 직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섬유 제품을 차별화해 각 분야에서 고부가가치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비싸지 않은' 산업에 접목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염색 산업 역사가 오랜 탓에 신기술 개발이 한계에 다다른 점도 해결 과제다. 윤 원장은 기존 염색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응용기술을 개발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했다. 그는 "경제성이나 실현 가능성만 뒷받침된다면 친환경 섬유 관련 응용기술을 주도해 보고 싶다"며 "바이오셀룰로오스 등 천연 소재로 만드는 섬유가 건설 현장에 쓰여 화학 폐기물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되고 있다. 이 같은 기술이 산업 전반에 보급되면 국내 섬유 산업이 한층 업그레이드될 것"이라 말했다.

윤 원장은 앞으로 다이텍과 소속 연구원들의 역량을 한층 높일 계획이다. "다이텍의 연구'개발 실적이 뛰어난 데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 섬유 업체들은 다이텍을 적극 이용하거나 이곳에 의지하지 않아 아쉬웠습니다. 제 임기가 끝날 때까지 많은 섬유 업체들이 자기 계발을 위해 선뜻 연구를 의뢰할 수 있을 만큼 전문성을 강화하는 것이 제 목표입니다."

홍준헌 기자 newsforyou@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