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부실한 메르스 진단'치료체계 시민 불안감 더한다

대구 지정 진료병원 대응 능력 의구심

의료기관 이용 방법 시민홍보 다시 해야

대구에서 첫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환자가 발생하면서 시민 불안감이 눈에 띄게 높아졌다. 다행히 환자의 가족들은 1, 2차 검사에서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아 한숨을 돌리기는 했다. 하지만 환자와 접촉한 다른 감염자의 출현 여부를 주목하며 대구시 전역이 6월 말경까지는 초긴장 상태에 놓이게 될 전망이다. 확진 환자인 공무원의 증세 발현 시점을 13일로 잡았을 때 메르스의 잠복기가 14일인 점을 감안한데 따른 것이다.

게다가 국가지정 격리병상인 대구의료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던 환자가 경북대 격리병상으로 긴급 이송되는 광경을 지켜보면서 시민들은 또 다른 불안감을 느낀다. 국가지정 병원에서도 치료할 능력이 모자란다면 환자가 추가로 발생할 경우 어떻게 대처할 것이냐는 의구심이다. 대구시는 환자의 상태가 가벼울 경우 '진료병원'인 대구의료원으로 검사와 치료를 일원화하고, 중증으로 악화하면 '치료병원'인 경북대병원으로 이송한다는 원칙을 세워두고 있다.

이번 환자 이송과 관련, 대구의료원 측은 "격리병상에 인공호흡기 2대를 갖추고 있지만, 이를 다룰 수 있는 호흡기내과 전문의가 없다"라는 해명을 내놓았다. 그러나 대구의 주요 노출자 진료병원인 대구의료원의 메르스 대응력에 대해 시민들은 의심하고 있다. 아울러 메르스 사태와 관련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방법도 어려워한다.

정부에서 '국민안심병원'이니 '중점치료병원'이니 하는 이름의 병원들을 지정했지만, 어떨 때 어느 병원으로 가야 할지 여전히 잘 모르고 있다. 메르스 환자와 접촉 후에 유사 증상이 있거나, 접촉 이력이 없지만 증세가 의심스러울 경우 또는 만성 질환자는 어느 병원으로 가야 하는지 혼란스러운 것이다. '국민안심병원'에 대한 정확한 개념조차 파악하지 못한 국민이 많다는 점을 지나쳐서는 안 된다.

이번 기회에 보건당국은 지정 진료 및 치료병원에 대한 설비와 전문인력을 재점검하고, 환자 수용과 치료를 위한 컨트롤타워를 재정비해야 한다. 이와 함께 '안심병원→진료병원→치료병원'으로 이어지는 환자 전달체계와 지정병원 간 능동적인 네트워크 구축으로 앞으로 사태에 대비하면서, 이를 국민들에게도 적극 안내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