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개통 100년을 맞은 파나마 운하는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것으로 총연장이 82㎞다. 수에즈 운하와 더불어 세계 토목사에서 기념비적 공사인 파나마 운하는 1881년 2월 기공식을 갖고 대장정에 돌입했다. 하지만 운하 건설을 주창한 프랑스 공학자 페르디낭 드 레셉스 등 유럽의 기술자들은 현지인들이 치명적인 질병에 대해 경고했음에도 곧이듣지 않았다. 운하 반대론자들이 꾸며낸 말이라고 의심했기 때문이다.
공사가 시작되자 인부들이 죽어나갔다. 산사태 등 사고로 목숨을 잃은 노동자가 부지기수였고 열대 풍토병으로 수천 명이 죽었다. 당시 인부들의 숙소에는 방충망도 없었다. 이 때문에 모기로 인한 말라리아나 황열병이 창궐했다. 프랑스식 생활문화도 질병을 부추겼다. 프랑스 기술자들은 주거지에 정원을 만들고 개미로부터 조경수를 보호한다며 도랑을 파 물을 채웠다. 질병에 대한 인간의 오만과 무지가 빚은 비극이다.
당시 70대 노인이던 레셉스도 공사 시작 5년 만에 목숨을 잃었다. 대역사는 결국 실패로 끝나고 투자자들은 30억달러의 거금을 낭비했다. 건설을 지휘한 알렉상드르 에펠 등 공사 주도자들은 엄청난 벌금을 물어야 했다. 파나마 운하는 결국 주도권을 쥔 미국의 손에 의해 1914년 8월 완성됐다. 만일 현지인의 말을 귀담아듣고 만반의 대비를 했다면 역사의 주인공이 되었을 것이다.
메르스에 이어 이번에는 홍콩독감 경계령이 내려졌다. 1968~69년에 대 유행해 전 세계에서 100만 명(추정치)이 사망한 계절 인플루엔자인 홍콩독감이 최근 다시 고개를 들자 보건당국이 여행객 입국검사를 강화하는 등 초비상이다. 올해 초 홍콩을 휩쓴 홍콩독감은 최근 주춤하다 6월 중순 이후 다시 유행해 한 달 새 61명이 숨졌다. 올해 홍콩독감에 의한 사망자는 모두 563명이다. 홍콩독감은 메르스와 달리 예방백신이 있지만 공기로 전파돼 감염력이 매우 높다. 메르스의 1천 배라는 말도 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가 늘 우리를 위협한다. 에볼라나 메르스처럼 먼 나라 이야기로 치부했다가는 당하기 십상이다. 신종 인플루엔자 등 수많은 감염병이 들끓는데도 메르스 사태 때처럼 대비책 없이 허둥댄다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도 시간문제다. 의학 전문가들의 말을 빌리면 바이러스는 결코 박멸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극복할 대상이다. 따라서 이 싸움에서 이기려면 그만큼 방패가 튼튼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