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의 장남인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과 차남인 신동빈 한국 롯데그룹 회장은 한 살 차이의 친형제이지만 성격이 매우 다르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들 형제의 모친은 신 총괄회장의 두 번째 부인인 일본인 시게미쓰 하쓰코(重光初子) 씨다. 신영자 롯데삼동복지재단 이사장은 첫 번째 부인인 고 노순화 여사의 소생이다.
신 총괄회장은 두 아들 모두에게 혹독한 경영수업을 시켰다. 롯데가 아닌 다른 회사에서 평사원으로 근무시킨 것이다. 신 전 부회장은 일본 아오야마가쿠인대(靑山學院大) 경영학부를 졸업하고 1978년 미쓰비시(三菱)상사에 평사원으로 들어가 10년을 근무했다. 1987년에야 일본 롯데상사 미국지사장으로 입사한 후 2009년 지주회사인 롯데홀딩스 부회장에 취임했다.
차남인 신 회장도 형처럼 아오야마가쿠인대 경제학부를 나온 후 미국 컬럼비아대로 유학을 가서 경영학 석사(MBA) 학위를 받았다. 1981년 일본 노무라(野村)증권에 입사해 런던지점에서 국제 금융 감각을 키우며 7년 동안 회사원 생활을 했다. 1990년 롯데케미칼의 전신인 호남석유화학에 입사하며 한국롯데와 첫 인연을 맺는다.
이처럼 비슷한 경영수업을 받았지만 이들 형제의 성격은 상반된다는 평이다. 부친인 신 총괄회장의 외모를 닮은 신 전 부회장은 성격이 차분하고 감수성이 풍부한 반면, 신 회장은 신중하면서도 한번 결정을 내리면 적극 밑어붙이는 과감한 성격의 소유자로 알려져 있다.
신 회장의 성격은 사업 수완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그는 2004년 10월 롯데 정책본부장 취임을 시작으로 그룹 경영의 전면에 나섰다. 하이마트, 말레이시아 타이탄케미칼, 중국 대형마트 타임스 등 국내외에서 크고 작은 30여 건의 M&A(인수'합병)를 성사시켰다.
적극적인 해외 진출과 M&A에 힘입어 한국 롯데그룹은 일본 롯데보다 출발은 늦었지만 빠르게 성장했다. 신 회장이 정책본부장에 취임할 당시인 2004년 23조원이던 한국 롯데그룹의 매출은 2013년에는 3.6배인 83조원으로 늘어났다. 계열사도 74개로 확대됐다.
반면 신 전 부회장이 지휘한 일본 롯데그룹의 계열사는 2013년을 기준으로 한국 롯데그룹의 절반도 안 되는 37개에 불과하다. 매출도 5조7천억원에 머물렀다. 일본 롯데그룹이 한국 롯데보다 일찍 출범했음에도 상대적으로 정체되고 있는 셈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