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우리나라 최고의 '귀농 고장'이라는 명성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도내 23개 시'군과 연계, 다양한 귀농'귀촌 정책들을 펼치고 있다. 강(江)'산(山)'해(海)라는 천연자연이 어우러진 농업환경의 이점을 활용해 경북도 차원의 단계별'맞춤형 마스터플랜 수립을 통한 '대한민국 귀농 1번지' 여건 조성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도내 23개 시'군이 시행하고 있는 차별화된 귀농'귀촌 정책이 있다. 귀농인 초기 정착에서부터 자립기반 조성과 귀농'귀촌 전문 교육프로그램 운영, 귀농 후 적응을 위한 선진 농업현장 견학 등을 통해 경북을 제2의 고향으로 찾는 많은 도시민들이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도내 23개 시'군의 특색있는 귀농'귀촌 정책을 살펴봤다.
◆상주-집들이 행사비 지원
상주는 전국에서 귀농'귀촌하려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곳이다. 대한민국 농업 수도로 일컬어지는 상주엔 지난해까지 3년간 1천304가구(귀농인 2천334명)가 들어와 살고 있다. 3년 동안 한 개 면이 상주에 새로 생긴 셈이다.
상주 귀농 인구 증가를 이끌고 있는 것은 집단 귀농을 유도하는 정책이다. 친지'이웃'동료'친구'동호인 등을 대상으로 벌이는 상주시의 '입주자 주도형 소규모 전원마을 조성사업'은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최초로 시행하는 사업. 2012년도 농림축산식품부에서 가장 우수한 정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5가구 이상이 함께 이주하면 도로와 상하수도 시설 등을 시에서 설치해 주고, 농가 건축 설계비 50%도 상주에서만 실시하고 있는 귀농 지원정책이다. 또 정착지원금도 도내에서 가장 많은 2천만원을 준다.
또 귀농'귀촌인 주민초청행사를 운영하는 것도 특이한 정책이다. 귀농'귀촌인과 지역주민과의 상호교류 증진을 위해 시에서 집들이 행사를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모두 87건, 3천800만원을 지원했다고 시는 밝혔다. 이 기간에 상주에는 1천340가구, 2천405명의 귀농인이 유입됐다.
◆문경-대학교 학자금 지원
문경시는 귀농인 자녀에게 대학교 학자금까지 지원하며 귀농인 유치에 올인하고 있다. 귀농'귀촌인 교육비 부담 완화 및 귀농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다.
이를 위해 문경시는 '귀농'귀촌인 지원조례'까지 만들었다. 다른 지역에서 1년 이상 농업 이외의 산업에 종사하다가 3년 이내 부부 이상 귀농한 만 65세 이하인 대학생 자녀가 있는 귀농인이 대상이다.
한 농가당 자녀 1명에게 100만원을 지원하고 있는데, 지난해에만 6농가에 600만원을 지원했다고 시는 밝혔다. 문경시 관계자는 "대학생 자녀를 둔 귀농인 사이에서 학자금 지원정책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또 귀농인의 조기정착에도 도움이 된다는 평이 많다"고 했다.
◆고령-6차산업 기반조성 지원
고령군은 귀농'귀촌인을 대상으로 요즘 뜨고 있는 6차산업 기반조성을 위한 지원정책을 펴면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상품의 포장, 유통개선, 상표등록,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자금 지원에 나서고 있는 것. 또 지역농산물을 주원료로 한 가공, 저장, 판매시설과 기계설비도 지원하고 있다.
고령군은 귀농인이 귀농 전의 재능을 농업과 연계해 소득을 창출하는 동시에 지역 농업기반을 높이는 일거양득의 효과가 있다고 소개했다. 군에 따르면 2013년 5곳, 2014년 5곳 등에 체험시설 설치 및 부대 장비, 저장고, 건조기 등을 지원했다. 올해도 3천500만원의 지원예산을 확보해 지원하고 있다.
또 다가구 주택형 '귀농인의 집' 운영 사업도 눈에띄는 정책이다. 지역 내 낙후마을의 유휴 원룸을 활용해 다수의 귀농'귀촌 가구를 한곳에 머물게 하면서 지역사회에 빠르게 뿌리내리게 하는 것이 이 사업의 골자다.
고령군 관계자는 "농지 및 주택 구입 전 귀농인의 집에 잠시 생활하면서 지역상황을 파악하고 철저히 준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귀농인들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