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투명경영 압박·불매운동…롯데 '사면초가'

최경환 총리 "지배구조 개선"…시가총액 5일새 2조5천억 증발

총수 일가의 경영권 분쟁을 겪고 있는 롯데그룹이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정부는 재벌 지배구조 개선의 본보기로 삼아 롯데그룹을 전방위로 압박하는 가운데 국적 등 정체성 논란까지 겹치면서 '반(反)롯데' 정서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정부는 롯데그룹과 관련해 불투명한 지배구조는 물론 자금 흐름까지 엄밀히 살펴보겠다는 입장이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6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세제발전심의위원회에 참석 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나라 5대 그룹인 롯데그룹이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경영권 다툼을 벌이는 것에 대해 매우 실망스럽다. 롯데그룹 일가는 지금 경영권 다툼에 매달릴 것이 아니라 스스로 불투명한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경영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신속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미 롯데그룹에 대한 전방위 압박이 시작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롯데그룹에 일본 계열사에 대한 세부 주주 현황 등의 자료를 이달 20일까지 제출하라고 요구한 상태다. 금융감독원도 2분기 실적 공시를 앞둔 롯데알미늄, 롯데로지스틱스와 관련해 최대주주인 L제2투자회사의 대표자 정보와 재무'사업 현황을 요구하기로 했다, L투자회사들은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이 자금 관리와 상속 등을 목적으로 만든 것으로 금융권에서는 추정하고 있지만 정확한 실체는 알려지지 않았다. 롯데 계열사의 주요주주인 '국민연금공단이 롯데 경영에 대한 감시를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도 나온다.

민간에서도 롯데 압박에 가세하고 있다. 소비자단체인 금융소비자원은 4일 롯데카드'롯데백화점 등 롯데 전 계열사에 대한 불매운동에 들어갔다. 80여 개에 가까운 롯데 계열사의 전 제품이 대상이다. 700만 회원을 둔 소상공인연합회도 5일 성명을 내고 롯데마트'롯데슈퍼 제품 불매운동과 소상공인 업소 롯데카드 거부운동을 벌인다고 밝히는 등 불매운동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롯데그룹은 소비재 제조와 유통 산업이 중심인 만큼 불매운동이 확산할 경우 그룹 전체 매출이 감소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롯데그룹 주가는 일제히 하락세로 돌아섰다. 지난달 말 26조1천억원까지 불어난 롯데 상장 계열사의 시가총액은 6일 23조6천억원으로, 5일 새 2조5천억원가량 사라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