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남구 대명동 안지랑 곱창골목이 전국적 먹거리 명소로 유명세를 타면서 소음, 불법 주차 등에 따른 불편 및 피해를 호소하는 인근 주민들의 불만도 높아지고 있다.
전국 최대 곱창골목으로 급부상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등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그에 따른 주민들의 피해도 커지고 있는 만큼 주민과 곱창골목 상가, 행정기관 간 상생'공생을 위한 지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곳은 2000년대 초반부터 곱창, 막창 음식점이 하나 둘 모이면서 젊음의 거리로 급부상했다. 현재 음식점을 비롯해 카페, 호프 등 60여 개 점포가 성업 중이다.
초기에는 침체됐던 동네에 활기가 돌면서 주민 대부분은 음식점이 늘어나는 것을 반겼다. 하지만 점포 수 증가와 비례해 동네 주거 환경도 점차 엉망이 돼가면서 눈살을 찌푸리는 날이 많아졌다.
주민들은 밤만 되면 취객들이 내지르는 고성방가에 시달렸고, 매일 아침 집 앞의 용변, 구토 흔적을 치워야 했다. 인근 주택, 빌라 골목 곳곳에 세워둔 차들로 주차난도 심해졌고, 영업장 밖 불판에서 나는 매캐한 연탄가스도 매일같이 마셔야 했다.
곱창골목 인근 주택에서 20년 가까이 산 박모(65) 씨는 "창문을 열면 음식 냄새는 물론 연탄가스 냄새도 계속 나 한여름에도 문을 못 연 지 10년이 됐다"며 "올여름 무더위에도 문을 닫고 살 수밖에 없어 에어컨 요금이 20만원이나 나왔다"고 했다.
결국 이달 25일 대명 9동 주민 225명은 남구청에 곱창골목의 소음, 노상방뇨, 불법주차 등에 대한 단속을 요구하는 진정을 접수했다.
이곳은 도시계획상 상업지역이 아닌 엄연한 주거지역인 만큼 구청은 주민들이 살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 단속 책임이 있는 구청이 부서마다 책임을 전가하며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한 주민은 "식당의 불판, 불법주차 등을 단속해 달라고 구청에 전화하면 위생과, 교통과 등 다른 부서로 돌리며 대답을 회피할 뿐 근본적인 대책은 내놓지 않았다"며 "피해 주민 개인이 구청에 호소하면 아무 효과가 없어 집단으로 진정을 넣을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이에 대해 구청은 주민들의 피해를 줄이는 동시에 곱창골목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입장이다. 남구청 관계자는 "주민, 상가 간 대화의 장을 마련해 장기적으로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며 "곱창골목의 발전을 위해 식당들이 법에 저촉되지 않고 영업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