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3년 전 이맘때쯤(2012년 9월 27일) 구미에서 일어난 '불산 사고'는 화학물질이 얼마나 무서운지를 보여줬다. 지난달 전 세계를 놀라게 한 중국 톈진 폭발사고 역시 화학물질의 폭발력이 상상을 초월한다는 사실을 재확인시켜줬다.
이런 가운데 '동네 행정'을 맡고 있는 지방자치단체가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제조업체의 현황을 모르고 있다. 유독 화학물질의 인'허가와 사고 발생 때 대응 등의 권한을 중앙부처가 맡게 되면서 동네 행정을 맡은 지자체는 까막눈 신세가 된 것이다. 만약 사고가 났을 경우, 방제'해독 등 일선 재난 대응에 구멍이 뚫릴 게 불을 보듯 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대구환경청에 따르면 올 들어 대구에서는 6개 업체가 유독 화학물질 영업 및 취급 허가를 받았다. 하지만 대구시는 어떤 업체가 무슨 종류의 화학물질을 다루는 허가를 받았는지 모른다. 올 1월과 3월 대구환경청이 영업허가 현황 통보를 한 이후엔 추가적 정보를 전혀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상북도도 사정은 마찬가지. 올해 경산 5곳, 포항 3곳, 구미 3곳 등 15개 업체가 유독 화학물질 영업허가를 받았지만 경북도는 취급 물질 유형이나 유해물 업체 이름도 모른다.
각 지자체가 화학물질 관리에 '깜깜이'가 된 것은 올 1월부터 시행된 화학물질관리법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 2012년 9월 구미 불산 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물질의 사전관리와 사고 대응체계를 변경, 화학물질의 영업허가와 사고 때 대응 및 관리 주체 등의 업무를 모두 환경부로 이관했다.
이 때문에 화학물질 영업허가를 새로 받거나 취급하던 화학물질이 바뀌더라도 대구시'경북도는 알 수가 없다. 환경 당국의 통보 의무가 1년에 1번뿐이기 때문.
대구시'경북도 관계자는 "신규 영업허가 업체 현황에 대한 자료 업데이트가 잘 되지 않아 대응 매뉴얼은 손도 못 대고 있다"면서 "올 3월과 5월에도 사고 대처가 쉽지 않다는 의견을 환경부에 전달한 바 있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관련 부처가 모두 모이는 회의를 마련, 제도 개선을 건의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대구환경청 화학안전관리단 관계자는 "사업장 관리나 대응 속도가 다소 늦을 수는 있지만 전문성 측면에서 효과적 대처가 가능하다"며 문제가 될 게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