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상상을 한번 해 볼까요? 지금 여러분은 숲 속에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 앞에는 한 번 마시면 현재 상태 그대로 영원히 살 수 있도록 해주는 샘물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다음에 할 행동은 무엇일까요? 주저 없이 샘물을 마실까요? 아니면 지나칠까요?
얼마 전 종영한 TV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에는 4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변치 않는 젊음을 유지하며 지구에 살고 있는 도민준이라는 인물이 나옵니다. 부유하고 멋진 외모에 똑똑하기까지 한 인물이지요. 하지만 '너무 오래 살아서 참 지겹겠다. 사는 게 재미있었을까?'라는 것이 도민준을 처음 보았을 때 떠올랐던 생각입니다.
누구나 한 번쯤 영원한 삶을 꿈꿉니다. 젊음을 유지하며 오랫동안 살 수 있다는 것은 정말 매력적인 일이지요. 하지만 끝이 없는 인생에는 삶에 대한 애착, 지금 내가 가진 것에 대한 행복과 감사함, 새로운 것을 만났을 때의 기쁨과 설렘이 자리할 수 있을까요? 영원한 삶은 축복일까요?
"끝없이 살아간다는 것은 힘든 일이야. 우리 가족처럼 영원히 사는 것은 아무 쓸모가 없어. 도무지 말이 안 돼. 어떻게 하면 다시 생명의 수레바퀴에 올라탈 수 있는지 알 수만 있다면 나는 당장에라도 하겠어. 죽는 것 없이는 사는 것도 없어.(중략) 우리 가족은 그저 있는 거야. 길가에 놓인 돌멩이처럼 그저 존재할 뿐이야."(나탈리 배비트의 '트리갭의 샘물' 중에서)
동화 '트리갭의 샘물'은 우연히 영원히 살 수 있게 해주는 샘물을 마신 가족의 이야기를 담은 책입니다. 자연의 섭리를 거스르는 영원한 삶보다는 변하고, 성장하고, 죽어서 사라짐으로써 다음 생명들에게 자리를 내어주는 등 순리를 따르는 삶이 더 의미 있다는 말을 전하고 있습니다. 죽음과 영생, 유한함과 무한함. 동화치고는 다소 무거운 주제이기는 하지만 영원한 삶과 끝이 있는 삶에 대해서 생각하게 하고, 각 등장인물들이 자신의 인생을 대하는 태도를 통해 삶의 방식에 대해 고민하게 합니다.
트리갭의 샘물 앞에 선 여러분은 어떤 결정을 내리셨나요? 선택은 쉬우셨나요? 선택이 어려웠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영원한 삶이든 그렇지 않은 삶이든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면서 내가 남긴 흔적에 후회하지 않기 위하여 나는 무엇에 가치를 두고 어떤 태도로 살아야 할 것인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면 좋겠습니다. 이런 사유가 없다면 우리는 길가에 놓인 돌멩이처럼 그저 존재할 뿐이지 않을까요?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