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승려 혜통은 출가 전 경주 남산 부근에서 놀다 수달 한 마리를 죽이고 뼈를 동산에 버렸다. 다음 날 그 자리에 가니 뼈는 없고 남은 핏자국을 따라가니 전에 살던 굴에 이르렀다. 그런데 뼈는 굴 속의 새끼 다섯 마리를 안은 채 웅크리고 있었다. 충격으로 속세를 버리고 이름을 혜통으로 바꾸었다.'
'신라 재상 충원이 온천에서 돌아오는 길에 쉬는데 일행 중 사냥 좋아하는 이가 매를 놓아 꿩을 쫓게 했다. 놀란 꿩이 자취를 감추자 매 방울소리를 따라 우물가에 이르니 매는 근처 나무 위에 앉아 있었다. 꿩을 찾으려 우물 안을 들여다보니 상처입은 꿩이 두 날개를 벌려 새끼 두 마리를 안고 있고 물은 붉은 피로 물들었다. 그 모습이 어찌 가여운지 매는 감히 꿩을 잡지 못했다. 이에 왕은 절을 세워 영취사라 했다.'
일연(一然) 스님의 삼국유사에는 인간과 동물에 이르기까지 부모 자식 간 뜨거운 피를 나눈 정을 진하게 전하는 기록이 숱하다. 죽음에 이르거나 이른 뒤에도 새끼를 챙기는 수달과 꿩 이야기도 그 한 사례다. 또 남은 한 알의 알곡까지 챙겨 아들 공부를 위해 등 떠밀어 보내고 눈을 감는 홀어머니, 눈먼 딸 아이를 안고 간절한 노래로 빛을 찾아주는 어머니, 눈먼 어머니 봉양을 위해 품팔이에 나선 딸 이야기 등은 천 년 전 신라 백성들의 부모 자식 간 정경으로 그림 같다.
세속을 초월한 고려 승려 일연의 삶도 그와 다르지 않다. 9살에 출가했지만, 늙은 어머니를 모시려 대부분 삶을 군위, 달성, 청도, 포항 등 고향 경산 부근에서 맴돌았다. 권력자와 왕의 부름, 국존(國尊) 책봉 등으로 남해와 강화도, 왕경의 삶도 피할 수 없었지만 마음은 늘 어머니 곁이었다. 국존 자리를 버리고 개경을 떠나 78세에 95세 어머니를 모셨다. 96세 임종 후 군위 인각사에 머물다 84세 입적 때까지 인각사 주변의 어머니 산소를 떠나지 않았다.
그래서 스님은, 노모 생존 때 깊은 밤 짚신을 삼아 팔아 양곡으로 바꿔 봉양한 중국 절강성 목주(睦州) 출신 승려 진존숙(陳尊宿)을 흠모해 자(字)를 목암(睦庵)으로 삼았다. 불교 경전으로 부모의 열 가지 은혜를 설파한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을 실천하며 노모 모시기를 소홀히 하지 않았다. 삼국유사에 옛 사람의 부모 자식 간 애틋한 사랑에 동물 사례까지 모아 남긴 뜻은 무엇일까? 연휴에 들리는 크고 작은 부모 자식 간 갈등, 국회의 '불효자방지법' 추진 같은 씁쓸한 이야기에 '슈퍼문'이라는 보름달이 되레 작아 보인 추석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