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후 3시 대구시 북구 침산동 한 아파트 단지 부근 횡단보도. 어린이 통학차량 한 대가 멈췄다. 운전석 차 문에는 뒤차에 '정차' 신호를 보내는 '멈춤'(stop) 표지판이 펼쳐졌지만 이를 보고 멈추는 주변 차량은 한 대도 없었다. 어린이 3명이 차에서 내려 횡단보도를 건너려는 순간 뒤에서 달려오던 승용차가 학생들을 보고 급정거하는 아찔한 광경이 벌어졌다.
어린이 통학차량 사고를 막기 위한 일명 '세림이법'이 도입된 지 8개월이 지났지만 정작 운전자 안전 의식은 제자리걸음이다.
같은 날 취재진이 대구 곳곳을 현장 취재한 결과 어린이 통학차량에서 승하차할 때 무방비 상태에 놓인 아이들을 쉽게 목격할 수 있었다. 세림이법에 따르면 동승자가 없을 때 운전자가 직접 아이들의 승하차를 도와야 하지만 현장에서는 잘 지켜지지 않고 있었다. 한 어린이 통학차량 운전자는 "시간에 맞춰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한 명씩 내려주기 어렵다"며 "아이가 많이 어릴 때는 도와주려고 노력한다"고 말했다.
통학차량만의 문제는 아니다. 일반차량의 경우에도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지켜야 할 규정이 있지만 이를 지키는 운전자는 드물다. 도로교통법 제51조에는 "어린이 통학버스가 도로에 정차해 영유아가 승하차 중임을 표시하고 있을 때는 통학버스 주변을 통행하는 차 운전자는 일시정지해 안전을 확인한 후 서행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지만 이를 지키는 운전자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또 좁은 길에서는 통학차량의 맞은편에서 오는 차량이 일단 멈춰야 하지만 대부분 빠른 속도로 지나갔다. 통학차량 운전사 강모(61) 씨는 "좁은 길에서 아이들을 내려주려고 하면 뒤에서 경적을 울리거나 욕을 할 때도 있다"며 "법을 만들고 장비를 교체하라고 해도 인식 변화 없이는 돈 낭비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법을 어기면 과태료 처분까지 내릴 수 있지만 경찰의 적극적인 단속은 없는 실정이다. 경찰은 1일부터 교통법규 위반행위를 집중 단속하고 있지만 '안전띠 미착용' 등에만 신경 쓰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아직 법 시행 초기이기 때문에 과도하게 단속할 경우 반감이 커질 수 있다. 법 시행이 충분히 알려진 다음 적극적인 단속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