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땅값(토지자산 가격)이 1960년대 중반 이후 3천 배 이상 올랐다는 분석이 나왔다. 명목 토지자산 가격 총액은 1964년 1조9천300억원에서 2013년 5천848조원으로, 49년간 3천30배로 늘었다. 평방미터(㎡)당 평균가격은 1964년 19.6원에서 2013년 5만8천325원으로 올랐다.
한국은행 국민계정부 국민B/S팀의 조태형 팀장, 최병오 과장, 장경철'김은우 조사역은 16일 '우리나라의 토지자산 장기시계열 추정'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조 팀장 등은 1964년, 1976년, 1983년을 복수의 기준 년으로 정해 지가총액을 추정하는 방식을 택했다. 정부가 공시지가 발표를 시작한 1995년 이전 토지가격을 추정할 때엔 대한금융단 및 한국감정원 자료를 활용했다.
토지자산 가격 총액의 국내총생산(GDP) 비율은 1964년부터 2013년까지 평균 392%였다. 1970년 547%, 1991년 597%로 급등했지만 2013년엔 평균보다 약간 높은 409%를 기록했다.
정부 소유 토지자산 비중은 꾸준히 커졌다. 지가총액 중 정부 소유 비율은 1964년 13.2%에서 2013년 26.1%로 2배가량 높아졌다. 정부 소유 토지면적 비율이 21.8%에서 32.5%로 높아졌기 때문인데, 산업화 과정에서 교통망 구축을 위해 민간으로부터 땅을 취득했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조국·정경심 이어…'위안부 횡령' 윤미향도 특사 대상 포함
'전대 소란' 논란에... "전한길, 모든 전당대회 출입 금지"
"배신자" "음모론자" 두 쪽 나버린 국민의힘 대구경북 합동연설회
'시진핑·中대사 얼굴' 현수막 찢었다가…尹 지지단체 입건
국힘, '전당대회 방해' 전한길 징계 절차 개시…"조속히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