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색화 작가 최병소는 펜으로 고집스럽게 신문의 글자와 그림을 지워가면서 작품을 완성한다. 신문지 위에 볼펜과 연필을 이용해 선을 긋고 또 그어 신문 전체가 까맣게 그은 선들로 덮이고 마찰로 얇아져 군데군데 찢어질 때까지 집착을 가지고 이 작업에 집중한다. 최 작가는 "지우는 것만큼 편한 게 없다. 지우고 나면 홀가분하고 편안해진다"며 "비우는 것이 곧 채우는 것"이라고 했다. 작업이 끝날 즈음이면 신문은 신문지가 아닌 전혀 다른 물질의 결과물로 나타난다. 최 작가는 이 같은 작업을 1970년 초부터 시작해 40여 년이 지난 지금도 간소화하거나 단축하지 않고 이어오고 있다.
결과물은 인공적인 물질이 아닌 자연에서 생겨난 석탄과 같은 광물을 연상시킨다. 생물이 오랜 세월 땅속에 묻혀 열과 압력을 받아 화석이 된 자연의 파생물처럼, 초자연적 에너지가 만들어낸 단단한 물질의 결정체처럼 보인다. 그의 작품을 보고 있으면 인류가 오랫동안 고민해온 '물질'과 '정신'이라는 어려운 철학적 질문에서 '실체'가 무엇인지 생각하게 한다.
최 작가의 신문 기사 지우기 작업은 197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평론가들은 당시 진실을 왜곡하고 언론을 통제했던 정부에 맞선 작가의 저항이라고 해석한다. 그가 신문이라는 재료를 선택한 이유는 신문은 누구나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흔한 재료이고, 오늘이 지나면 그 가치를 잃고 버려지는 하찮은 것이지만 우리의 삶 속에 오랫동안 밀접한 관계를 맺어온 대중매체이기 때문이다. 최 작가는 "당시 세상 소식을 접할 수 있는 매체는 신문밖에 없어 나도 신문을 보면서 자랐다"고 했다.
그러나 자기 스스로 어떤 문제를 사고하고 판단하기 전에 언론이 반복적으로 보도하면 그것이 당연히 중요한 사안인 것처럼 인식되고 의식 속에 누적되기 쉽다. 작가는 우리 내면에 누적돼 가는 의식의 마비를 피하기 위해 그렇게 선을 긋고 지우고 또다시 긋고 지우는 것이다. 최 작가는 "작품에는 당시 아픔이 서려 있다"고 했다.
우손갤러리 김은아 대표는 "최 작가의 이런 작업은 신속, 편리를 지향하는 디지털 세대의 현대인에게 수도자의 고행처럼 경이로운 인내로 보일 수도 있지만, 그것은 예술의 본질에 다가가기 위한 예술가의 본능적 행위"라고 말했다
우손갤러리서 열리는 이번 전시에는 15m짜리 대작을 비롯해 20여 점을 선보인다. 작품은 내년 3월 프랑스 생테티엔국립현대미술관에 또 걸린다. 전시는 2016년 2월 7일까지 계속된다. 053)427-7736.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