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 동안 우리나라의 순자산이 40% 가깝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계에서 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는 추세로 분석됐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발표한 국민대차대조표에 따르면 국민순자산은 지난 2008년 말 8천118조5천억원에서 2013년 말 1경1천39조2천억원으로 36% 증가했다. 국민대차대조표는 일정 시점에서 국민경제의 실물자산과 금융자산, 부채의 규모와 증감을 기록한 통계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민순자산 배율은 2008년 말 7.4배에서 2013년 말 7.7배로 상승했다. 영역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이 4천621조6천억원에서 6천365조9천억원으로 5년 동안 37.7% 늘었다. 민간 부문의 순자산은 7천945조9천억원으로 우리나라 국부의 72%를 차지했다. 특히 가계 순자산에서 토지, 건물 등 비금융자산 비중은 2008년 81.8%에서 2013년 77.2%로 떨어진 반면 순금융자산은 18.2%에서 22.8%로 늘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훈 "최민희 딸 결혼식에 과방위 관련 기관·기업 '축의금' 액수 고민…통상 정치인은 화환·축의금 사양"
[단독] 4대강 재자연화 외친 李 정부…낙동강 보 개방·철거 '빗장' 연다
장동혁 "어제 尹면회, 성경과 기도로 무장…우리도 뭉쳐 싸우자"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
대통령실, 트럼프 방한때 '무궁화대훈장' 수여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