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충돌 새누리 공천특위 김태호 대놓고 "해체"

공천룰 둘러싼 계파 갈등 팽팽…신인들 불만 "감 잡을 수 없어"

새누리당 김태호 최고위원이 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새누리당 김태호 최고위원이 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변화와 혁신에 반하는 공천제도특별위원회는 즉각 해체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공천제도 특별위원회가 친박계와 비박계 간 공방으로 공전을 거듭하자 급기야 공개석상에서 해체론까지 제기됐다.

공천특위는 3일까지 6차례 회의를 가졌으나 친박계와 비박계가 각자의 주장만 고수하면서 팽팽한 대립 양상만 보이고 있다. 위원장인 황진하 사무총장은 지난해 말까지 공천룰을 만들겠다고 했으나 해를 넘겨서도 결과물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정치 신인 및 여성 등 소수자에 대한 여론조사 득표율 가산점제 및 중도사퇴 지방자치단체장에 대한 감점제, 여론조사 오차범위 시 결선투표 도입 등 큰 틀에서의 공감대를 이뤘으나 세부적 조정작업에선 사사건건 부딪히고 있다.

급기야 김태호 최고위원은 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특위가 계파 대리전으로 변화와 혁신을 거스르고 있다며 특위 해체를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결선 투표 실시와 컷오프 제도의 도입"을 '변화와 혁신을 위한 공천룰'로 봤다. 하지만 이는 친박계가 요구하는 '현역 물갈이'를 위한 방법론이어서 김무성 대표와 비박계가 결사반대하고 있는 사안이다.

'휴대전화 안심번호' 여론조사 도입 여부도 뜨거운 쟁점 사안이다. 안심번호제는 이동통신사가 이용자의 휴대전화 번호를 여론조사용으로 일시적으로 변경하는 것인데 최근 일반 유선전화 이용률이 매우 저조한 현실을 반영해 여야가 정개특위에서 합의한 내용이다.

그러나 친박계는 비용과 시간문제가 상당하다며 당원 투표는 이전처럼 현장 투표를 해야 한다는 주장인 반면 비박계는 현장투표는 조직 동원 위험이 있다며 친박계가 당원 현장투표를 고수하는 것은 조직동원 및 매수를 위한 의도가 아니냐는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안심번호제는 일반-당원 의견반영 비율, 결선투표 도입 등 공천제도의 다른 이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계파 안배로 구성된 공천특위에서 쉽사리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여론조사에서의 국민 대 당원 반영비율 역시 최대 뇌관이다. 친박계의 일반국민 50대 당원 50안과 비박계 및 중립 성향 의원들의 일반국민 70대 당원 30안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일단 친박계 김 최고위원이 특위 해체를 주장하고 나서면서 친박계에서는 공천관리위원회를 구성해 현 당헌'당규대로 공천을 하자는 이야기까지 흘러나온다. 당헌'당규에 따르면 공천관리위원회는 선거 전 90일까지 구성해야 한다.

공천특위만 바라보는 정치 신인들은 불만이 가득하다. 새누리당 한 예비후보자는 "공천룰을 둘러싼 계파 간 주장만 계속돼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할지 감을 잡을 수 없다"며 "시작부터 정치적 포부와 신념을 다지고 알리는 대신 중앙당의 눈치나 봐야 하는 상황이 개탄스럽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