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부동산 시장과 2016년 부동산 시장은?'
지난해엔 정초부터 주택 시장이 요동쳤다.
2015년 1월 '중산층 주거혁신 방안'을 시작으로 ▷서민 주거비 부담 완화 방안(4월) ▷서민 중산층 주거 안정을 위한 주택종합계획(5월) ▷중산층 주거 안정 강화 방안(9월) 등이 이어졌다.
전년도가 규제 완화를 통한 매매시장 활성화에 집중됐다면 2015년도는 전'월세 시장 안정화에 방점이 찍혔다. 정부는 매매가 살아나 기존 임차인들의 매수전환이 늘고 전'월세 시장에 점차 안정이 찾아올 것으로 내다봤다.
◆아파트 분양 시장 호황
분양 시장이 먼저 타올랐다. 지난해 3월 1%대 초저금리 시행에 수도권 1순위 자격이 1년으로 단축된 청약제도가 시행되면서 불을 지폈다.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2015년 상반기 1순위 청약자는 129만9천여 명으로 2014년 같은 기간보다 3배 이상 뛰었다.
하지만 전세금 상승세는 꺾이지 않았다. 저금리 기조가 유지된 탓에 전셋집의 월세 전환 속도가 빨라졌다.
환호하던 부동산 시장은 7월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기점으로 갈지자 행보를 시작한다. 가계부채 종합대책은 커지는 가계대출을 제한하고자 대출 범위를 갚을 수 있는 선으로 제한하고 처음부터 원금과 이자를 나눠 갚는 분할상환을 장려하도록 했다.
지난달 중순 발표한 '가계부채 대응방안'은 7월 가계부채 대책을 재차 확인한 것으로 수도권은 올 2월 1일, 비수도권은 5월 2일부터 시행된다. 하지만, 목돈 마련이 어려운 소비자들은 원금 상환이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주택 매수 심리는 한풀 꺾인 상황이다.
정부가 중산층의 전세난을 잡겠다며 선보인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 사업도 곡절이 많았다. 뉴스테이는 시행 초반 '초기 임대료' 규제를 놓고 오락가락하는 행보를 보였다. 그러나 정부가 뉴스테이 활성화를 위해 각종 규제 문턱을 낮춘데다 지난해 8월 뉴스테이 지원법이 국회 문턱을 넘으면서 기업들의 임대 사업 참여가 한층 탄력을 받고 있다.
◆대구 성적은?
2015년 대구지역 부동산 시장은 매매'전세가의 가파른 상승에다 신규 아파트 분양시장의 열기가 더해져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 하지만 시장의 분위기는 상반기와 하반기가 천차만별이었다. 상반기엔 금리 인하'대구도시철도 3호선 개통 등의 호재에 힘입어 초상승세를 이어갔지만 하반기엔 7월을 정점으로 거래량이 줄어들면서 가격 상승세가 둔화했다.
부동산자산관리연구소(소장 이진우)가 발표한 '2015년 대구 부동산 시장 결산'에 따르면 대구 아파트 매매가격은 올 한 해 14.5% 상승해 전국에서 유일하게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전국 5.61%, 6개 광역시 7.76%인 점에 비춰 상승세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대구는 상반기에 9.95% 올랐지만, 하반기엔 4.04%로 급격히 둔화했다. 지역별로는 수성구가 17.06%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이어 중구(14.29%), 북구(14.16%), 서구 (13.98%), 동구(13.96%), 달서구(13.87%), 남구(12.07%), 달성군(7.71%) 순으로 나타났다.
대구 아파트 전세금은 같은 기간 12.65% 올랐다. 상반기와 하반기의 성적은 극명하게 갈렸다. 상반기엔 8.46%나 올랐지만, 하반기엔 3.80%로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내년 입주 물량 급증에 따라 일부 지역에선 매물이 늘어나면서 조정을 받고 있다. 지역별로는 수성구가 15.83%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가운데 북구13.65%, 동구 12.98%, 남구 12.89%, 중구 11.62%, 서구 11.52%, 달서구 10.18%, 달성군이 6.41% 각각 올랐다.
◆2016년은 총선이 변수
새해 부동산 시장은 4월 치러지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가 변수다. 후보마다 다양한 부동산 공약을 들고 나와 표심을 공략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굵직한 부동산 정책은 나오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총선을 통한 여야의 정치적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여기에 가계부채 대응 방안까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매수자들의 관망세는 한동안 지속할 개연성도 크다.
이진우 부동산자산관리연구소 소장은 "가을 성수기 이후 이어진 주택시장의 숨 고르기가 새해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총선 공약에 따라 국지적인 가격 상승이 동반될 것"으로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