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황남빵 5년째 경주 팥 전량 수매 '농민과 상생 실천'

13개 읍·면·동 소득 향상 기여 올해도 461농가서 140t 생산

경주 특산물 황남빵이 지역 농가에서 생산되는 팥을 전량 수매, 상생을 실천하고 있다. 사진은 경주 산내면 농가의 팥 수매 현장.
경주 특산물 황남빵이 지역 농가에서 생산되는 팥을 전량 수매, 상생을 실천하고 있다. 사진은 경주 산내면 농가의 팥 수매 현장.

경주의 대표 특산품인 황남빵이 5년째 지역 농가에서 생산되는 팥을 전량 수매, 지역 상생을 실천하고 있다.

경주 13개 읍'면'동에서 재배되는 팥은 2011년 168농가(재배 면적 37㏊)가 30t을 생산하던 것을 시작으로 2012년 404농가 115㏊, 80t으로 크게 늘어났으며, 2013년에는 729농가 205㏊, 225t으로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498농가에서 142㏊, 150t이 생산됐으며 올해도 461 농가에서 129㏊, 140t을 생산했다.

이처럼 지역 팥 생산량 증가는 농가 소득 향상 등을 위해 황남빵이 농업기술센터, 팥 재배 농가와 합심으로 이뤄낸 성과다. 국립식량과학원이 개발한 다수확 품종 '아라리'를 농업기술센터가 농민들에게 재배 기술을 제공했으며 황남빵은 생산량 전량 수매를 통해 판로 걱정 없이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지역 팥의 안정적 생산과 전량 수매를 통해 판로 개척은 6차 산업을 성공적으로 끌어낸 모범 사례로 통한다. 1차 산업인 농업과 2차 산업인 제조'가공업, 3차 산업인 서비스업을 결합시킨 산업으로, 농산물을 생산만 하던 농가가 고부가가치 상품을 가공하고 서비스업으로 확대시켜 높은 부가가치를 발생시키고 있다.

황남빵은 올해도 지난 10일 외동읍을 시작해 23일까지 13개 읍면 461농가를 대상으로 팥을 수매했다. 올해 팥 가격은 80㎏ 기준 31만5천원으로 다른 지역 평균 수매가보다 10% 이상 높게 책정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