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미·일 북핵 추가 제재 '中 역할론' 강력 촉구

북한의 핵 문제로 한국과 미국'일본 등 3국의 안보 공조가 다시 강화될 전망이다.

외교부는 12일 "앞으로 북핵'북한 문제, 주요 지역 및 글로벌 협력 방안 등에 대한 심도 있는 정책적 논의가 한'미'일 간에 이루어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런 차원에서 오는 16일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한'미'일 외교차관의 두 번째 3자 협의는 한'미'일 3국이 '강화된 공조'에 시동을 거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협의회에는 임성남 외교부 1차관과 토니 블링큰 미국 국무부 부장관, 사이키 아키타카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북한의 제4차 핵실험을 계기로 3국의 협력과 공조의 필요성이 커졌다는 인식에 따라 공동 대응을 적극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협의회는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평가에서부터 유엔 안보리를 비롯한 대북 추가 제재 및 실효적 대북 압박을 위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이끌어 내기 위한 방안 등을 폭넓게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에 따르면 이 협의회를 계기로 한미, 한일 외교차관 간 양자회담 개최도 추진 중이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는 "최근 북한 핵실험에 의해 조성된 엄중한 상황에서 개최되는 이번 협의회에는 13일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에 이어 3국 간 공조 방안을 보다 고위급에서 협의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3개국 차관 협의회는 한일 간 일본군 위안부 문제 최종 타결로 그동안 과거사 문제 때문에 다소 이완됐던 한'미'일 3각 공조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우리 정부는 3국 협의회를 시작으로 러시아와도 6자회담 수석대표 간 회동을 추진 중이어서, 중국과 북한을 제외한 극동 아시아 나라들의 공조도 강화될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