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차 피해 겁나 성희롱 신고 꺼리는 직장女

여성 직장인의 절반 가까이는 성희롱 피해를 보더라도 회사 안팎의 불이익을 우려해 문제 제기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해 7월 직장인 450명과 대학'대학원생 350명 등 여성 800명을 대상으로 '성희롱 2차 피해 실태 및 구제강화를 위한 연구'를 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21일 밝혔다.

조사결과 여성 직장인 가운데 성희롱 피해를 봤을 때 성희롱 문제를 제기하겠느냐는 질문에 40.2%는 "제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직장 규모별로는 근로자 10인 미만인 중소 사업장에서 일하는 여성의 54.2%가 이렇게 답했다. 문제제기를 꺼리는 이유로는 '나에 대한 좋지 않은 소문이 날까 봐'(20.8%), '고용상 불이익을 당할까 봐'(14.4%), '처리과정 중 정신적 스트레스 때문에'(13.8%), '가해자를 다시 대하는 것이 불편해서'(10.2%) 등이 꼽혔다.

여성 직장인들이 당하는 성희롱 유형으로는 음담패설 등 성적인 이야기 또는 농담이 33.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외모'옷차림'몸매 등에 대한 평가 발언 30.0%, 누군가와 사귄다는 소문이나 성적 추문 17.6%, 회식자리에서 술시중'블루스'옆자리 강요 14.0%, 사내 음란사진'동영상 10.4% 등 순이었다.

성희롱 2차 피해를 경험한 여성 직장인들은 주변에서 공감하거나 지지하지 않고 참으라고 하는 것(22.2%)을 가장 많이 경험했다고 답했다. 성희롱은 개인적인 문제이니 알아서 해결하라는 사업주(11.3%)나 회사에서 불이익을 암시해 성희롱을 축소'은폐하려는 경우(12.4%), 회사가 성희롱 문제의 처리를 지연하거나 조치하지 않는 경우(10.9%) 등도 피해자들을 힘들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희롱 2차 피해는 주로 가해자(38.9%)나 동료(22.4%)로 인해 발생했다. 2차 피해 발생 이유로 여성 직장인들은 법적제재가 미흡(20.4%)하고 피해자 보호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19.8%)이라고 생각했다. 여성 대학'대학원생의 경우 성희롱 피해를 가장 많이 당하는 장소는 음식점'술집'노래방 등 유흥업소(47.7%)였다. 이어 MT'수련회 등의 숙박시설(16.9%), 연구실'실험실(12.0%), 동아리방(6.9%), 하숙'자취방(5.7%) 등 순이었다.

인권위 관계자는 "여전히 상당수 여성이 성희롱 문제제기로 인한 2차 피해를 크게 우려하고 있다는 점이 설문을 통해 확인됐다"며 "인권위는 성희롱 예방책과 피해자 구제 방안 등 종합적인 제도 개선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