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통, 설사 등을 동반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인 크론병 환자가 최근 20, 30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크게 늘고 있다.
6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보면 크론병(질병코드 K50) 진료인원은 2011년 1만3천920명에서 2015년 1만8천332명으로 31.7% 증가했다. 해마다 7.1%씩 늘어난 셈이다. 진료비 역시 233억원에서 474억원으로 연평균 19.4%씩 증가했다.
크론병은 만성 염증성 장 질환으로 복통, 설사, 식욕부진,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식도, 위, 소장, 대장, 항문 등 위장관 어느 부위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보면 20, 30대 젊은 환자가 많았다. 20대는 전체 진료인원의 29.3%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30대(21.4%), 10대(14.5%) 등이 뒤를 이었다. 20, 30대 환자는 전체 진료인원의 절반(50.7%)을 넘었다.
크론병으로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드물다. 다만 완치가 어렵고 장 폐쇄'협착, 항문 주위 질환 등 여러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그래서 크론병은 희귀 난치질환 산정 특례 대상이다. 병원에 입원하거나 외래 진료를 받으면 '본인 부담률 10%' 규정에 따라 진료비의 10%만 부담하면 된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