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 공천을 둘러싼 새누리당 내홍이 최고조로 치닫는 가운데 친박(친박근혜) 주류가 김무성 대표를 전방위로 압박하며 '고립 작전'에 들어갔다.
김 대표가 16일 열린 최고위에서 공천관리위(공관위)가 결정한 단수'우선추천지에 대한 의결을 보류하고,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어 공개적으로 이의를 제기한 게 결정타였다.
또 '윤상현 막말' 파문 국면에서 김 대표가 끝내 사과를 수용하지 않으면서 '살생부' 의혹이 다시 부각되고, 결국 윤 의원의 공천 탈락으로까지 이어진 데 대해서도 강한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당 대표가 공천에 대해 문제가 있다고 하면 야당의 공격 포인트가 된다"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당 대표가 공천을 엉망으로 만들어 과반 확보도 걱정"이라고 말했다. 친박계에서는 이를 전략공천이 이뤄질 경우 "당 대표 직인을 찍지 않을 수 있다"는 김 대표의 이른바 '옥새 저항'으로 보고 향후 공천 심사 운영에 대한 대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9월 공천제도특별위원회 구성과 공관위원장 선임 과정에서 충돌, 박 대통령을 겨냥한 '권력자 발언' 등으로 파문을 빚은 데 이어 공천심사안 의결까시 사실상 '보이콧'하고 나서자 "김 대표와 계속 함께할 수 있느냐"는 문제제기도 여권 핵심부에서는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가 이날 최고위 개최를 보류하자 '신박'(新박근혜)으로 분류되는 원유철 원내대표 주도로 최고위를 소집해 공관위 심사 내용의 의결을 시도하고, 외부 공관위원들이 김 대표의 사과를 요구하며 보이콧에 나선 것도 이러한 흐름 속에서 나왔다.
한때 친박계 최고위원들이 동반 사퇴함으로써 비대위 체제로 전환, 김 대표를 자연스럽게 당무에서 배제한다는 시나리오가 돌기도 했으나 당장은 이를 가동하기가 어려울 전망이다.
총선이 한 달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지도부가 와해하는 적전 분열의 사태까지 벌어질 경우 여론에 민감한 서울, 수도권에서는 부동층이 대거 등을 돌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공천 파동을 거치면서 청와대'친박계와 김 대표 간의 불신이 더욱 증폭됨에 따라 총선 이후 양측의 권력투쟁은 더욱 가파르게 전개될 전망이다. 세력을 형성해 오는 2017년 대권을 향해 달리려는 김 대표와 박 대통령의 임기 후반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새로운 권력의 탄생을 최대한 억누르려는 청와대의 충돌은 거의 정해진 수순이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신규 원전 건설? 실현 가능성 없어" 李대통령 '100일 기자회견' 어떤 얘기 오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