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축구 조별 리그 통과 '파란불'

멕시코·피지·독일과 G조 편성

올림픽 축구대표팀이 오는 8월 개막하는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조별리그 통과에 청신호를 밝혔다.

한국은 14일(한국 시각)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마라카낭 경기장에서 열린 올림픽 본선 조 추첨에서 멕시코, 피지, 독일과 C조에 편성됐다. 1번 시드에 배정된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일본 중 가장 피하고 싶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를 만나지 않게 돼 최상의 조 편성으로 평가된다. 여기에 참가국 중 최약체로 꼽히는 피지와는 한 조가 됐다.

멕시코는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강팀. 하지만 그동안 한국이 남미 축구에 절대 열세였던 것을 고려하면 1번 시드에서는 가장 해볼 만한 팀으로 꼽힌다. 국제축구연맹(FIFA) 순위에서는 16위로 56위의 우리나라보다 40계단이 높지만 23세 이하(U-23) 대표팀 간 전적에서는 2승 4무 1패로 한국이 앞선다. 실제 4년 전 올림픽에서도 멕시코와 조별리그에서 같은 조에 편성됐는데 0대0으로 무승부를 기록한 바 있다.

피지는 한 번도 싸워본 적은 없지만 FIFA 랭킹이 182위로 참가국 중 최하위다. 반드시 승점 3을 쌓아야 하는 상대다.

가장 껄끄러운 상대로는 독일이 꼽힌다. 독일은 FIFA 순위에서도 5위로 C조에서 가장 높다. 신태용 올림픽 대표팀 감독도 조 추첨 후 "올림픽 대표 연령대에 분데스리가에서 뛰는 수준급 선수가 워낙 많아 쉽지 않은 상대다"며 "독일만 피하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같은 조가 돼 부담이 간다"고 했다.

그러나 조 편성이 무난해 조별리그 통과를 충분히 노려볼 수 있다는 평가다. 김대길 KBSN스포츠 해설위원은 "이 정도면 최상"이라며 "독일은 21세 이하 선수들이 나온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렇게 되면 더더욱 좋은 결과다"고 기대했다.

조별리그 통과시 붙게 되는 8강이 고비가 될 수 있다. D조에는 아르헨티나와 포르투갈, 알제리, 온두라스가 포진해 있기 때문이다. 2012년 런던 올림픽 때처럼 4강에 가려면 8강을 넘어야 하는데, 아르헨티나나 포르투갈 등은 만만치 않은 상대다.

김 위원은 "D조 1위가 예상되는 아르헨티나를 8강에서 피할 수 있도록 조 1위로 올라가는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지금의 한국 올림픽 대표팀이 우리가 기대했던 것 이상으로 잘해주고 있기 때문에 중앙 수비만 보완된다면 동메달 이상까지도 가능하다"고 기대했다.

신 감독도 "조 추첨 결과는 나쁘지도, 좋지도 않다"면서 "멕시코와는 대등하게 경기를 할 수 있다. 준비를 잘하면 해볼 만하다. 나쁜 조 편성은 아니다"고 긍정적으로 해석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