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에서 배출한 '미래권력' 2명…몸값 급등세 유승민·김부겸 당선자

劉, 정치적 승부수 적중 표몰이 성공-金,적진서 큰 표 차이 깜짝놀랄 압승

4'13 총선에서 4선 고지에 오른 유승민 당선자(대구 동을)와 김부겸 당선자(대구 수성갑)의 몸값이 급등세다.

'새누리당의 참패'와 '더불어민주당의 원내 제1당 부상'으로 마무리된 이번 총선 과정을 통해 당내 역학구도 속에서 자신만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명분을 축적했기 때문이다.

유 의원은 '정치적 승부수'(새누리당 탈당 후 무소속 출마)가 적중하면서 여권 내에서 살아남은 몇 안 되는 대권 주자 반열에 올랐다.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을 준엄하게 심판한 민심이 석연치 않은 이유로 새누리당으로부터 공천을 받지 못한 유 의원의 우군이 된 모양새다. 특히, 유 의원으로선 적어도 대구경북에선 '미래 권력'으로 자리매김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박 대통령의 레임덕(권력 누수)이 가속화되면 지역의 차기 주자를 염원하는 여론이 높아질 것이고 그렇게 되면 유 의원은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도전'에 나서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새누리당 내 차기 유력 대권 주자들이 무더기로 탈락한 총선 결과도 유 의원의 입지 강화에 도움이 됐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는 이번 총선에서 낙선해 정치적 재기가 불투명해졌다. 비박계를 대표해 온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총선 참패 책임론에 족쇄가 채워졌다. 유 의원이 비박계를 응집시킬 수 있는 구심점이 될 수도 있다. 다만, 유 의원은 그동안 날을 세워 온 친박계의 견제를 극복해야 한다.

대구에서 31년 만의 정통 야당 당선자로 각광받는 김부겸 당선자는 당선과 동시에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성공 모델을 이어갈 수 있는 정치인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역적으로는 '민주당'의 동진 정책을 주도하면서 이념적으로도 당의 외연을 확장시킬 수 있는 강점이 부각되고 있다. 이 같은 김 당선자의 위상은 향후 김 당선자의 정치 행보에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불모지였던 대구에서의 승리도 좋았지만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를 꺾은 그림이 너무나 드라마틱했다"며 "김 당선자가 이념적으로 중도 성향 유권자들을 끌어올 수 있는 능력만 보여준다면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강력한 대권 후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전 대표와 김종인 대표가 당권을 잡기 위해 힘겨루기를 벌이고 있는 당내 구도 역시 김 당선자에게 도움이 될 전망이다. 양측 사이에서 손학규 상임고문과 함께 캐스팅보트를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현재 당권을 쥐고 있는 김종인 대표가 이념적으로 중도를 선호하고 있는 점도 김 당선자에겐 호재다. 하지만 김 당선자가 정치적 날개를 펼치기 위해서는 세력이 필요한데 아직까지 자체 세력을 키우지 못한 점은 한계다.

이와 함께 네 번째 금배지를 거머쥐게 된 최경환 당선자(경산)와 주호영 당선자(대구 수성을)의 행보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새누리당 내부에서는 두 사람 역시 재편이 불가피한 새누리당의 지도부 입성이 유력한 인물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