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승용차보다 대중교통 이용하세요"

4년간 70억 들여 승용차요일제 장려…하반기엔 '대중교통 이용의 날' 운영

대구시가 '승용차 이용 줄이기' 총력전에 돌입했다. 승용차요일제와 교통량감축프로그램 참여를 대폭 늘리고, 대중교통 이용의 날을 지정'운영하는 등 자가용 차량 운행 감소 및 대중교통 활성화 등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섰다.

우선 시는 시행 8년째이지만 지지부진한 승용차요일제 실효성부터 높일 작정이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승용차요일제 참여 차량은 3만5천 대로 전체 대상 차량(53만6천 대)의 6.6%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시는 올해 1만 대 신규 참여를 목표로 하는 등 2020년까지 70억원을 들여 요일제 참여비율을 30%(14만 대)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참여 시 요금 할인혜택을 주는 업체 가맹점을 861곳에서 1천100곳으로 늘리는 한편 자동차세 5% 감면 혜택을 대중교통 이용금액(연간 약 10만원) 환급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민간업체의 교통량감축프로그램 참여 확대 방안도 마련했다. 교통량 유발이 많은 시설물의 비용 부담을 늘려 현재 9.9%인 교통량감축프로그램 참여율을 2020년까지 20%로 높이겠다는 것이다.

도시 교통 혼잡을 일으키는 시설물 소유자에게 물리는 '교통유발부담금'도 올릴 예정이다. 3천~3만㎡의 시설물에 적용되는 850원(1㎡당)을 2020년까지 1천200원, 같은 기간 3만㎡ 이상 시설물은 1천200원에서 2천원으로 인상한다.

또 승용차 부제 운행, 주차장 유료화, 통근버스 운영, 자전거 이용 활성화 등과 같은 교통량감축프로그램에 참여하면 주어지는 교통유발부담금 경감비율을 더 높이는 유인책도 마련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부터 매달 하루나 이틀을 '대중교통 이용의 날'로 지정, 승용차를 두고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을 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라며 "공무원이나 관련 기관은 의무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고 시민들은 홍보를 통해 자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