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6차 산업화를 이야기할 때 문경을 빼놓고는 이야기가 안 된다. 문경시는 오미자를 1천억원대 소득작물로 발전시켜 2014년 안전행정부(지금의 행정자치부)로부터 지역경제 활성화 최우수상을 받았다. 당시 박근혜 대통령까지 나서 "국내 농업 6차 산업화의 성공 모델"이라며 극찬을 아끼지 않았을 정도다.
문경 오미자는 몇 해 전부터 농업 6차 산업화 바람을 타고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농업 당국이 권장한 대부분 작목이 반짝 특수를 누리다 사라진 데 비하면 문경 오미자는 놀라운 성과를 만들어냈다. 문경 오미자는 1996년 야생 오미자를 1천800여㎡ 시범포로 옮겨 심은 것을 시작으로 2004년에는 문경이 국내 유일의 오미자 특구로 지정되기도 했다.
현재 문경은 전국 오미자 생산량의 절반 정도를 생산한다. 주 생산지인 동로면은 백두대간 중심 황장산과 대미산 중턱에 위치하고 있고, 땅이 오미자 재배에 꼭 맞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는 경상북도와 문경시가 오미자 재배 면적 확대와 기술개발, 가공산업에 대한 지원, 소비 확산 등 생산과 소비가 같이 이뤄지는 체계를 일찌감치 구축한 성과다.
오미자의 대명사인 문경 오미자는 사실 그 역사와 전통이 유구하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문경시에 따르면 문경 오미자는 조선시대 각종 기록에 지역 토산물로 소개돼왔고 임금님 진상품 중 하나였다. 52년간 조선의 왕위를 지키며 82세로 생을 마감한 영조(英祖'1694~1776)가 매일 오미자차를 즐겨 마셨다는 조선왕조실록 기록도 있다.
문경 오미자 산업 성장 배경에는 '오미자가 다양한 효능이 있어 6차 산업 상품성이 있다'는 문경시의 전략적 판단이 있다. 문경시는 문경에 오미자 재배지가 큰 규모로 집적화돼 있고, 주변 경관도 뛰어나 농촌 경관과 연계가 가능하다고 여겼다. 또 농민~제조'가공업체~유통업체 등 농촌산업 주체 간 연계와 협력을 통해 문경 오미자를 6차 산업화할 잠재력이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문경시는 1995년 신활력사업으로 오미자 산업을 선정, 지금의 6차 산업화 기틀을 다졌다. 또 문경 오미자 홍보를 위해 동로면에서 오미자 축제도 열었다. 2006년에는 문경 오미자 공동브랜드 '레디엠'(rediM)도 출시했다. 2009년에는 지리적 표시 특산물로 등록하기도 했다.
지난해부터 문경시는 문경읍, 동로면, 마성면 일대 2억4천705만㎡에 2017년까지 33억8천700만원을 들여 문경 오미자 6차 산업 공동 인프라를 조성하고 고부가가치화와 지역 브랜드화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신규 원전 건설? 실현 가능성 없어" 李대통령 '100일 기자회견' 어떤 얘기 오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