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새누리 비대위원장 누구?…외부 인사 영입에 무게

김황식 전 국무총리
김황식 전 국무총리
김형오 전 국회의장
김형오 전 국회의장
강창희 전 국회의장
강창희 전 국회의장
김관용 도지사
김관용 도지사

'새누리당 쇄신을 이끌 구원투수는 누구?'

26일 열린 새누리당 당선자 워크숍에서 결론을 내리지 못했지만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외부 인사 영입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한쪽에서는 당 출신 원로급 인사를 선임하자는 분위기도 일고 있다. 후보로 이름이 오르내리는 인사만도 여럿이다.

현재로서는 내달 3일로 예정된 차기 원내대표 선출 이후 뜨거운 논의가 진행되겠지만, 이에 앞서 후보군을 좁혀가는 작업도 물밑에서 이뤄지고 있다. 비대위원장은 차기 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할 전당대회 개최 전까지 당을 이끈다. 외부 인사를 영입하자는 것은 내부 인사로는 누가 맡든 총선 참패 책임이 있어 당을 이끄는 데 한계가 있어서다.

앞선 25일 중진 회동에서는 새 원내대표와 비대위원장을 분리하자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비대위원장으로 외부 인사를 영입하자는 데는 대체로 공감대가 형성된 분위기다. 비대위원장 후보로는 일찌감치 거론된 김황식 전 국무총리에 이어 김형오 전 국회의장이 부상하고 있다. 김 전 의장이 특정 계파 소속이 아니고, 국회 수장까지 지내 조정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게 강점으로 꼽힌다.

김수한, 강창희 전 국회의장도 후보군이다. 강 전 의장은 친박계로 분류되지만 충청 출신으로 계파색이 옅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비박계의 거부감이 덜하다는 장점이 있다. 김 전 의장은 89세라는 나이에도 각종 당내 행사에 참석하는 등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당 일각에선 친박-비박 갈등 해소를 위해 비박계 의원들과도 친분이 두터운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를 비대위원장 후보로 거론한다. 이 밖에 박관용 전 국회의장과 당 대표를 역임한 강재섭 박희태 상임고문 등도 비대위원장 후보군으로 언급되고 있다.

한편 새누리당은 대표와 최고위원 등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시기를 놓고도 계파 간 입장 차가 확연하다. 친박 쪽에서는 전대를 최대한 늦추려 하고 있다. 총선 참패에 대한 친박 책임론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조기 전대를 하면 친박 후보들이 나서기가 쉽지 않다는 이유 때문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