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서 정진석-김광림 조(組)의 승리 배경에는 여러 해석이 붙지만, 대구경북(TK) 표심이 상당한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다. TK 당선자들의 이심전심(以心傳心)식 밀기가 '정-김' 조의 당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데는 큰 이견이 없다.
지역 정가에서는 이번 원내대표 경선서 보여준 TK의 단합된 모습이 향후 중앙정치 무대에서 TK 영향력 상승으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다. 총선 뒤 TK 당선자들은 '단합만이 살길'이라는 데 의기투합했다. 공천 과정에서의 잡음, 총선에서의 민심 이반 경험은 위기의식을 불러왔고, TK가 중심이 돼야 박근혜정부의 성공도 이룰 수 있다는 공감대 형성으로 이어졌다.
한 의원은 "새로 꾸려질 지도부, 또 다가오는 대선까지 TK의 정치적 위상을 위해선 교두보 마련이 필요했지만 그간 TK 정치권은 정권 창출 주인공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당내 권력 지형에서는 변방에 머물러 있었다. 이런 자괴감이 이대로는 안 된다는 합심으로 모아졌다"고 했다.
이번 경선은 결의를 실행으로 옮기는 첫 무대였다. 후보 단일화부터 당선까지 일사불란하게 움직였다. 총선 참패 뒤 '계파 청산' '쇄신'이 키워드로 떠오르는 상황이라 단체행동이나 공개적 지지는 삼갔지만 TK 당선자들은 각종 모임을 통해 원내지도부 진입에 총의를 모았고, 경제'정책 능력이 뛰어난 김광림 의원을 TK 단일 후보(정책위의장)로 밀자는 데 대해 암묵적으로 뜻을 함께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정-김 조가 예상보다 많은 69표를 얻어 당초 예상을 깨고 결선투표 없이 당선을 확정 지은 데는 친박계의 결집, 비박계 일부의 선택이 한몫했지만 TK 당선자들의 표 이탈이 없었기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TK 단합의 힘은 부산'경남(PK) 후보의 낙선 결과로 더 도드라진다. PK에선 유기준(부산 서'동) 의원이 원내대표 후보로, 또 김재경(진주을) 의원이 여성 최다선인 나경원 의원과 조를 이뤄 정책위의장에 도전했지만 각각 7표와 43표를 얻는 데 그쳤다.
TK는 이번 경선 결과로 원내지도부 진입이라는 성과와 함께 상임위원장 자리 확보에도 다소 숨통을 틔우게 됐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