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호르몬 관련 추정
우울증·만성두통 유발
운동·음식으로 조절을
머리가 지끈지끈 아프고 메스꺼움을 느끼는 편두통은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압도적으로 많고, 주로 50대 여성들이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편두통 환자는 2010년 47만9천 명에서 지난해 50만5천 명으로 5년 사이 5.3% 증가했다. 진료비도 396억원에서 532억원으로 34.4% 급증했다.
지난해의 경우 여성 환자가 36만1천 명으로 71.4%를 차지해 남성(28.6%'14만4천 명)보다 2.5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 편두통 환자가 많은 것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편두통과 관련이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인구 10만 명당 편두통 진료 인원은 50대 여성이 1천952명으로 가장 많았고, 70대(1천905명), 40대(1천791명) 등의 순이었다. 남성은 80세 이상이 1천182명으로 가장 많았고, 70대(1천75명), 60대(738명) 등이었다.
편두통의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유전적인 영향이나 신경염증, 혈관수축, 반복되는 통증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중심감작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감염이나 손상 등 뚜렷한 이상 없이 나타나는 일차적 두통으로 빛에 예민하게 반응하거나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메스꺼움 등의 증상을 느낀다.
긴장성 두통과 달리 전조증상이 나타나는 점도 특징이다. 눈앞에 아지랑이가 피는 것처럼 보이거나 뇌경색처럼 한쪽 팔다리에 힘이 빠지기도 한다. 편두통을 방치하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고, 우울증을 겪거나 만성 두통으로 이어질 수 있다.
편두통을 예방하려면 충분한 수면과 운동, 영양 섭취가 중요하다. 수면장애나 피로, 스트레스, 특정 음식, 커피와 같은 음료수, 약, 날씨, 월경, 폐경 등도 두통을 악화시킬 수 있다. 두통을 악화시킬 수 있는 어깨나 목 등의 통증도 치료해야 한다.
따라서 음식처럼 피할 수 있는 것은 가능하면 피하고, 피할 수 없다면 예방약을 복용해 증상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평소 습관적으로 두통약을 복용하는 것은 만성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