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알도 아깝다. 강력범은 교수형에 처해야 한다."
'범죄와의 전쟁'을 선언한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 9일 대선 이후 처음으로 사형제 부활을 비롯해 차기 정부의 주요 추진 과제를 밝혔다.
16일 필리핀 GMA 방송과 AFP 통신 등에 따르면 두테르테 당선인은 전날 밤 기자회견에서 마약과 강간, 살인, 강도 등의 범죄에 대해 사형제를 재도입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필리핀은 1987년 사형제를 없앴다가 1993년 살인과 아동 성폭행, 납치 범죄에 한해 이를 부활했으나 2006년 다시 폐지했다.
두테르테 당선인은 총알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총살형보다 교수형이 낫다며 이 방식이 더 인도적이라고 덧붙였다.
필리핀이 사형제를 도입하려면 관련법을 개정해야 하지만 전 인구의 80% 이상이 가톨릭 신자로 부정적 시각이 강해 실현 여부는 불투명하다.
대통령 취임 6개월 안에 범죄 근절을 공약으로 내세운 두테르테 당선인은 저항하는 범죄 용의자와 조직 범죄자에 대한 사살 명령을 경찰에 내릴 것이며 군의 명사수도 단속에 투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범죄 소탕전이 이뤄지면 경찰의 과잉 대응과 인권 침해 논란이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는 선거 기간에 "대통령이 되면 모든 범죄자를 처형하겠다", "범죄자 10만 명을 죽여 물고기 밥이 되도록 마닐라만에 버리겠다"고 말해 인권단체와 현 정부, 다른 후보자들의 반발을 샀다.
두테르테 당선인은 대통령궁의 요트를 경매에 부쳐 수익금을 참전군인 지원, 병원시설 개선 등에 쓰고 대통령과 VIP 수송용 헬기를 응급 환자 이송에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작년 1월 프란치스코 교황의 필리핀 방문 때 도로 통제로 교통 체증이 빚어지자 교황을 욕한 것과 관련, 바티칸을 방문해 사과하겠다고 대변인을 통해 밝혔다가 이를 취소하는 등 오락가락 행보를 보였다.
두테르테 당선인은 당시 문제가 됐을 때 사과 편지를 보낸 만큼 더 이상의 사과는 필요 없다는 태도를 취했다.
두테르테 당선인은 16일 중국, 일본, 이스라엘 대사와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그가 대선 승리 이후 처음 만나는 외교사절단에 필리핀의 동맹인 미국 대신 중국 대사가 포함된 것은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으로 갈등을 빚는 중국과의 관계 개선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두테르테 당선인은 중국에 필리핀의 남중국해 영유권 존중을 요구하면서도 양자 대화와 남중국해 자원 공동개발 등의 필요성을 제기해왔다.
남중국해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분쟁 당사국은 물론 미국, 일본도 참여하는 다자 회담도 제안하겠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