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를 자율주행차 산업 중심지로 키우기 위한 노력에 탄력이 붙었다. 18일 대통령이 참석한 규제개혁점검회의에서 자율주행차를 둘러싼 각종 규제를 대폭 개선하기로 결정하면서 자율차 기술 산업화에 청신호가 켜졌기 때문이다. 정부는 자율차 핵심 부품 등 개발에 걸림돌이 되는 각종 규제를 풀어 대구를 '규제프리존'으로 지정했다.
자율주행차 핵심 기술 개발과 실용화 테스트, 산업 플랫폼 구축은 대구의 산업 지형도를 크게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일이다. 지역 경제 활성화는 물론 인구 250만 대구의 미래와 정체성을 결정짓는 분수령이기 때문이다. 대기업이 전무한 대구의 현실에서 기존 산업에만 의존한다면 대구는 계속 정체되고 뒤떨어질 수밖에 없다. 자율주행차 등 신산업에 대구가 빠르게 접근하고 올인하는 것은 올바른 선택이다.
권영진 시장은 3월 SK텔레콤'삼성 등 대기업과의 사물인터넷(IoT) 기술 업무 협약에 앞장섰다. 이처럼 공격적인 자세와 의욕을 보인 것은 자율주행차 기술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적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이 협약은 자율주행차 산업의 핵심인 통신기술과 관련 부품을 상용화 단계로 끌어올리는 데 필요한 '테스트베드'로 대구를 완전 공개한다는 뜻이다. 대구의 주요 산업인 자동차 부품 등 축적된 기술력과 제조 기반 등이 뒷받침된 결과다. IT와 차세대 자동차의 빠른 기술적 진화와 산업 파급력을 감안한다면 피할 수 없는 걸음이다.
대구시는 2014년부터 '자율차 핵심 기술 개발사업' 계획을 마련하고 정부 지원을 이끌어 내는 등 많은 공을 들였다. 내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국비 등 1천455억원도 확보했다. 카메라와 레이더 모듈, 도로 인프라 등 자율차 관련 8대 핵심 부품 개발이 주 내용이다. 자율차 부품을 테스트하는 실증 시범 구역도 수목원~대구테크노폴리스(12.95㎞)와 대구테크노폴리스 내부(2.35㎞), 수성의료지구 등에 조성한다.
자율주행차 산업은 한국이 후발 주자다. 미국'유럽의 선진국은 구글 등 글로벌 기업을 중심으로 이미 핵심 기술을 확보하는 등 크게 앞서 있다. 어려운 상황이지만 대구가 연구 역량을 총결집해 기술 격차를 빠르게 좁혀 나간다면 승산이 충분하다. 무엇보다 지역 자동차'전자 업체는 물론 자율차 핵심 부품 개발에 국내 기업을 참여시키고 인재 확보에도 신경 써야 한다. '자율주행차 산업 중심도시'라는 계획에 차질이 없도록 지금부터 가속도를 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