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 탈퇴 결정으로 혼란 속으로 빠져든 영국 정부를 이끌 보수당 차기 대표 경선이 29일(현지시간) 시작됐다.
9월 초까지 선출될 집권여당 보수당의 새 대표는 데이비드 캐머런의 뒤를 이어 영국 총리가 된다.
브렉시트 국민투표로 영국이 심각한 분열에 빠졌고 캐머런 총리가 투표 패배의 책임을 지고 자리를 내놓은 만큼 새 총리는 안에서는 갈라진 나라를 통합하고 밖에서는 EU와 탈퇴 협상을 진행할 막중한 책무를 안게 된다.
이 자리를 가리켜 AP통신은 '독이 든 성배'라고 표현했다.
누구보다도 차기 당 대표 및 총리가 될 유력한 후보로 꼽히는 이는 보리스 존슨 전 런던시장과 테레사 메이 내무장관이다.
존슨 전 시장은 캐머런 총리에 맞서 브렉시트 진영을 승리로 이끌었다.
미국에서 태어나 명문 이튼스쿨, 옥스퍼드대를 졸업한 그는 일간 더타임스, 텔레그래프를 거쳐 잡지 스펙테이터 편집장을 지낸 언론인 출신이다.
2001년 하원의원으로 당선된 이후에도 TV 출연과 저술을 병행해 인지도를 높인 그는 어수룩한 듯한 외모에 직설적이고도 화려한 언변으로 시민들로부터 '존슨 씨'가 아닌 '보리스'로 불릴 만큼 대중적 인기를 높였다.
재선 런던시장으로 지내면서 괴짜지만 추진력 있다는 평가를 받은 그는 애초 적극적인 유럽 회의론자가 아니었지만 당권을 겨냥한 전략으로 브렉시트를 택해 적중시켰다.
다만 이 부분은 존슨 전 시장이 당권을 차지하는 데 장애가 될 수도 있는 요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존슨 전 시장은 캐머런을 물러나게 했다는 오점과 계속 싸워야 할 것"이라며 "충성심을 어떤 미덕보다 높게 치는 당에서 킹슬레이어(king-slayer'왕 살해자)들이 보상을 받는 경우는 드물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존슨이 투표에서 '승리'한 직후에는 차기 당권과 대권은 따 놓은 당상으로 관측됐지만 메이의 등장으로 주춤한 상태다.
메이 장관은 29일 일간 더타임스에 보낸 편지를 통해 출사표를 던졌다.
메이 장관은 EU 잔류 진영에 섰으나 잔류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고 중재적인 태도를 보여 투표 이후에는 당을 통합할 수 있는 인물로 비치고 있다. 특히 보리스 전 시장의 반대파로부터 광범위한 지지를 받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성공회 성직자의 딸로 태어난 메이는 영란은행과 민간기업에서 금융 컨설턴트로 일했고, 1997년 하원에 입성한 이후 원내총무 등 당내 요직을 두루 거쳤다.
2010년 보수당이 정권을 탈환한 직후 내무장관에 기용돼 지금까지 맡고 있다.
지난 100년 기간에 최장 내무장관직 재임 기록이다.
이민'치안'사이버안보 등에서 물러서지 않는 태도를 고수해 '철의 여인' 마거릿 대처 전 총리의 이미지를 갖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최근 여론조사업체 유고브가 보수당 지지자들을 대상으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메이 장관이 31%로 1위를 차지해 24%인 존슨 전 시장보다 앞섰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