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 10일, 전속력으로 달려오던 차량의 음주사고로 5살 아들은 엄마, 외할머니와 함께 세상을 떠났다. 당시 가해 차량의 운전자는 혈중알코올농도 0.122%로 만취 상태였다. 가해 차량의 블랙박스 영상 속에는 끔찍했던 사고의 순간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도로교통공단의 영상 감정 결과, 만취 상태였던 운전자는 정지신호를 수차례 위반하며 시속 140㎞에서 최고 149㎞까지 속력을 내 달리다 피해 차량과 충돌했다. 일상 속에서 누구도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음주운전은 '묻지 마 살인'과 다름없다.
작년 10월 새벽, 음주운전 사고로 환경미화원 두 사람은 평생 장애인으로 살아야 한다. 두 가정을 풍비박산 낸 음주운전 사고. 하지만 가해자는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2014년 기준, 대한민국 음주 사망사고에 대한 집행유예 선고율은 60%에 달했다. 음주운전에 대한 솜방망이 처분 때문일까.
지난해 국내 음주운전 적발 건수는 24만 건이 넘고, 음주운전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사람만 583명에 달한다. 일본의 경우, 2014년 음주운전 사고 사망자는 단 227명. 음주운전 처벌법과 단속기준을 강화한 결과, 2000년에 비해 무려 82% 감소한 것이다. 6일 KBS2 TV '추적 60분'에서는 음주운전의 끔찍한 실태를 추적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조국혁신당 '창립멤버' 은우근 탈당…"성 비위 피해자에 공격 멈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