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드 배치 전제로 대화하자"…성주 투쟁위 "협상의 기본도 몰라"

여당인 새누리당이 국방부의 불통 행정을 성토하며 협의체 구성을 통해 제대로 된 협상을 제안했지만 사드 주무부처인 국방부는 여전히 일방통행을 고수하고 있다. "사드 배치를 전제로 깔고 대화하자"는 막무가내식 태도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사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것 같았던 사드 사태가 끝 모르는 암흑 터널 속으로 재진입하고 있다.

국방부 황희종 기획조정실장과 이남우 기획관리관은 28일 오후 성주군의회 의장실에서 '성주안전협의체' 구성 논의와 관련, 성주 사드 배치 철회 투쟁위원회(이하 투쟁위) 대표들을 만났지만 사드 배치와 관련한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투쟁위 측에 따르면 사드 배치 확정을 전제로 '성주안전협의체'를 구성하려는 의도를 국방부가 이날 만남에서도 드러냈다는 것이다.

국방부 황희종 기획조정실장은 "국방부 장'차관이 군민들에게 사과의 말씀을 드리려고 한다. 국방부의 책임 있는 답변을 듣기 위해서는 장'차관을 만나야 한다"고 했지만 투쟁위 측은 사드 배치 확정을 전제로 한 '성주안전협의체'를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정영길 투쟁위 공동위원장(경북도의원)은 "'현재 국방부가 추진하고 있는 사드 배치 관련 모든 업무를 중단한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한 뒤 원점에서 대화하자"고 통보했다.

이수경 투쟁위 기획운영분과 단장(경북도의원)도 "사드 배치 관련 정보공개 방침을 한민구 장관이 밝혔는데, 한 장관은 자신이 내뱉은 말을 지켜야 한다. 만약 한 장관이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강경 입장으로 돌아섰다.

김안수 투쟁위 공동위원장은 "안전협의체 용어는 사드 배치를 확정한다는 전제하에 사후관리를 위해 대화 창구를 만들자는 의도인 것으로 파악된다"며 "26일 투쟁위 간부들이 성산포대를 방문했을 때 사드 레이더가 앉을 자리에 이미 전선을 빼놓는 등 국방부가 지속적으로 군민들을 기만하고 있다"고 분개했다.

김항곤 성주군수는 이날 "'성주 성산포대가 사드 배치 지역으로는 부적합하다'고 국방부가 미군을 먼저 설득해야 한다"며 "수도권 방어도 되지 않는데, 군사적 효율성을 따진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 미군 측이 대구와 칠곡의 미군기지와 가깝다는 이유로 성산포대를 선정한 것 아니냐"고 국방부 관계자들에게 따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