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드 배치 '제3의 장소'로 거론되는 3곳

구미 금오산, 성주 염속산, 성주 까치산

성주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를 둘러싸고 '제3의 장소'에 대한 이야기가 끊임없이 흘러나오고 있다.

국방부는 사드 배치 부지로 성주읍 성산포대를 선정하고, '제3의 장소'는 검토 대상이 아니라고 못 박았지만 ▷구미 금오산(해발 976m) ▷성주 수륜면 까치산(해발 571m) ▷성주 금수면 염속산(해발 872.5m) 등이 여전히 후보지로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이와 관련해 경북 지역 한 국회의원은 "사드 배치 지역을 변경할 경우 기존 담당자들이 문책 감사를 의식해 제대로 검토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인력팀을 구성해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구미 금오산=국방부 차관 출신인 새누리당 백승주 국회의원(구미갑)은 최근 "금오산 정상에 사드를 배치하겠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금오산 정상엔 현재 사용하지 않는 미군 통신기지가 있다.

1953년 11월 한'미 상호방위조약 이후 2만2천585㎡ 부지에 캠프캐럴 293통신중대가 사용하는 통신탑과 건물동, 헬기장 등이 들어섰다. 이곳은 1991년 통신기지가 무인 시설로 전환되면서 방치되고 있다.

금오산은 성주 성산포대와 북쪽으로 24㎞ 정도 떨어져 있다. 이곳 정상에 사드를 배치하면 수도권 방어까지 가능하고, 미군 통신기지가 있기 때문에 별도로 미군 측에 부지를 제공할 필요도 없다.

또 정상에서 공중으로 사드 레이더 빔을 발사하기 때문에 주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주택가와도 상당한 거리를 두고 있다. 더구나 성산포대는 부지가 좁아 4기의 포만 설치할 수 있지만, 금오산 미군기지는 6기까지 설치할 수 있다.

◆성주 금수면 염속산 KT 중계소=염표봉산 혹은 염속산이라 불리는 일대는 성주 금수면 후평리와 김천시 조마면 대방리에 걸쳐 있다. 성산포대에서 북쪽으로 16.3㎞ 떨어져 있다.

이곳은 지금 KT에서 중계소로 이용하고 있다. 입구에서 산 정상까지는 2.7㎞. 폭 2.5m의 꼬불꼬불한 임도를 따라 차로 10여 분 올라가면 중계소에 도착한다. 중계소 입구에는 예전 공군부대가 사용하던 군 막사와 창고 등이 남아 있다. 막사를 따라 우측으로 올라가면 KT 송신탑이 있고, 옆에는 2층짜리 건물(323.4㎡)이 서 있다. 염속산에 사드를 배치하면 오산기지까지 방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염속산 정상은 봉우리 형태로 사드를 배치하려면 산 정상 대부분을 깎아야 하는 난공사가 뒤따른다. 또 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임도 폭이 너무 좁아 공사 차량 진출입이 불가능하다. 더욱이 중계소 부지 이외에는 사유지가 많아 이를 매입하는 데도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성주 수륜면 까치산=성산포대에서 남서쪽으로 11㎞가량 떨어져 있다. 까치산 정상부는 마치 분지를 연상케 할 정도로 넓지만 산 바로 아래 작은리 마을엔 10여 가구 30여 명의 주민들이 살고 있다. 벼농사를 짓고 있는 기존 농가와 새롭게 지은 듯한 단독주택 등 10여 채가 함께 들어서 있다.

까치산 정상까지는 자연부락에서 폭 2m가량의 임도를 따라 차로 5분 정도 올라가야 한다. 이곳에 사드를 배치할 경우 자연부락 주민들의 이전과 사유지인 산을 매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게다가 정상으로 이어지는 길이 임도밖에 없어 진입로를 확장해야 한다.

이 같은 제3의 장소 여론에 대해 성주 사드 배치 철회 공동투쟁위원회 관계자는 "성주 지역은 그 어디가 됐든 사드 배치는 절대 안 된다는 게 군민들의 하나 된 생각"이라며 "지금 시점에선 사드 배치 철회만이 유일한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