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사 릴레사(26'에티오피아)가 리우 올림픽 남자 마라톤에서 두 번째로 결승선에 도달하며 두 팔을 엇갈려 'X'를 그렸다. 에티오피아 정부를 향한 비판 메시지를 담은 행동이었다. 그는 시상식에서도 다시 한 번 X자를 그렸다.
릴레사는 21일 리우 올림픽 남자 마라톤 42.195㎞ 풀코스를 2시간9분54초에 달려 은메달을 차지했다.
DPA통신은 "릴레사는 올림픽 무대를 '에티오피아의 상황'을 알릴 기회라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릴레사는 에티오피아 오로미아 지역 출신이다. 이 지역은 에티오피아 반정부 정서가 강한 곳으로 알려졌다. DPA통신은 "오로미아 지역에서 반정부 시위를 펼치다 1천 명 이상이 죽거나 교도소에 갇혔다"고 설명했다.
릴레사는 어눌한 영어로 "반정부 시위를 하는 사람들은 단지 자신의 권리와 평화, 민주를 원한다"고 말했다. 그는 "나는 이제 에티오피아로 돌아갈 수 없다. 내가 에티오피아로 가면 그들은 나를 죽이거나, 교도소에 집어넣을 것"이라고 했다. 에티오피아 국영 방송은 릴레사가 결승선을 통과하는 장면을 삭제하고, 이 경기를 방영했다.
릴레사는 용기를 냈지만, 정치적인 의미를 담은 행동으로 메달을 박탈당할 가능성이 크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올림픽에서 일체의 정치적'종교적'상업적 선전을 금지하고 있다.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육상 200m 금메달과 동메달을 딴 토미 스미스와 존 카를로스는 시상식에서 검정 장갑을 낀 손을 들어 올리는 '인종 차별에 항의'하는 세레모니를 펼치다 메달을 박탈당했다.
또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남자축구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한국 대표팀의 박종우가 관중이 건넨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플래카드를 들었다가 IOC의 조사를 받았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