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결제로 불법 고리 대출을 받도록 유도하는 '휴대전화깡' 정보가 상거래'채팅 등 스마트폰 앱을 통해 대거 퍼져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는 지난 7'8월 스마트폰 앱상의 불법 정보를 집중적으로 심의한 결과, 적발 사례 659건 중 휴대전화 불법대출을 권유'홍보하는 정보가 231건(35.1%)으로 가장 많았다며 2일 이같이 당부했다. 휴대전화 불법대출은 지난 2∼5월 심의 때는 적발된 건수가 17건에 불과했으나 수개월 뒤 이 숫자가 13배 넘게 늘어났다.
휴대전화 불법대출은 신청자가 이동전화 소액결제로 게임 아이템 등을 사면 대출업자가 이 재화를 팔아 현금화해 대출금을 넘겨주는 수법으로, 이자가 수십%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방통위 관계자는 "당국의 눈을 피해 중고거래 앱 게시판 등에 불법대출 홍보 글을 올려 돈이 급한 저소득층'저신용자를 유혹하는 사례가 많았다"고 했다.
다른 주요 적발 사례로는 비아그라와 시알리스 등 의약품을 팔겠다는 정보(178건'27.0%)와 음란'성매매 정보(154건'23.4%), 대포 통장 등 불법 명의 거래(46건'7.0%)가 있었다. 방통위는 적발 사례에 대해 사용자 이용 해지와 서비스 접속 차단 등의 조처를 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