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결제로 불법 고리 대출을 받도록 유도하는 '휴대전화깡' 정보가 상거래'채팅 등 스마트폰 앱을 통해 대거 퍼져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는 지난 7'8월 스마트폰 앱상의 불법 정보를 집중적으로 심의한 결과, 적발 사례 659건 중 휴대전화 불법대출을 권유'홍보하는 정보가 231건(35.1%)으로 가장 많았다며 2일 이같이 당부했다. 휴대전화 불법대출은 지난 2∼5월 심의 때는 적발된 건수가 17건에 불과했으나 수개월 뒤 이 숫자가 13배 넘게 늘어났다.
휴대전화 불법대출은 신청자가 이동전화 소액결제로 게임 아이템 등을 사면 대출업자가 이 재화를 팔아 현금화해 대출금을 넘겨주는 수법으로, 이자가 수십%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방통위 관계자는 "당국의 눈을 피해 중고거래 앱 게시판 등에 불법대출 홍보 글을 올려 돈이 급한 저소득층'저신용자를 유혹하는 사례가 많았다"고 했다.
다른 주요 적발 사례로는 비아그라와 시알리스 등 의약품을 팔겠다는 정보(178건'27.0%)와 음란'성매매 정보(154건'23.4%), 대포 통장 등 불법 명의 거래(46건'7.0%)가 있었다. 방통위는 적발 사례에 대해 사용자 이용 해지와 서비스 접속 차단 등의 조처를 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조국혁신당 '창립멤버' 은우근 탈당…"성 비위 피해자에 공격 멈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