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결제로 불법 고리 대출을 받도록 유도하는 '휴대전화깡' 정보가 상거래'채팅 등 스마트폰 앱을 통해 대거 퍼져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는 지난 7'8월 스마트폰 앱상의 불법 정보를 집중적으로 심의한 결과, 적발 사례 659건 중 휴대전화 불법대출을 권유'홍보하는 정보가 231건(35.1%)으로 가장 많았다며 2일 이같이 당부했다. 휴대전화 불법대출은 지난 2∼5월 심의 때는 적발된 건수가 17건에 불과했으나 수개월 뒤 이 숫자가 13배 넘게 늘어났다.
휴대전화 불법대출은 신청자가 이동전화 소액결제로 게임 아이템 등을 사면 대출업자가 이 재화를 팔아 현금화해 대출금을 넘겨주는 수법으로, 이자가 수십%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방통위 관계자는 "당국의 눈을 피해 중고거래 앱 게시판 등에 불법대출 홍보 글을 올려 돈이 급한 저소득층'저신용자를 유혹하는 사례가 많았다"고 했다.
다른 주요 적발 사례로는 비아그라와 시알리스 등 의약품을 팔겠다는 정보(178건'27.0%)와 음란'성매매 정보(154건'23.4%), 대포 통장 등 불법 명의 거래(46건'7.0%)가 있었다. 방통위는 적발 사례에 대해 사용자 이용 해지와 서비스 접속 차단 등의 조처를 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