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여권 내에서 그간 금기시됐던 대통령의 탈당과 2선 후퇴 요구가 터져 나오면서 박근혜 대통령이 '외길'로 내몰리고 있다.
비박계 좌장격인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는 이날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헌법 수호자인 대통령이 헌법을 훼손하며 국정을 운영했다"면서 대통령의 탈당과 당 지도부 사퇴를 촉구했다. 김 전 대표는 "국민이 위임한 대통령직이란 공적 권력이 최순실 일가가 국정을 농단하고 부당한 사익을 추구하는 데 사용됐다. 청와대와 당내 패권세력의 발호와 농단으로 정치개혁이 유린당하고 국정 마비를 넘어서 국정붕괴로 이어졌다"면서 강도 높게 박 대통령과 친박계를 비판했다. 이어 "대통령은 당의 제1호 당원으로서 선당후사의 정신으로 당을 살려야 한다는 책임의식을 갖고 당적을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대표는 박 대통령에 대해 ▷거국중립내각 구성 즉각 수용 ▷국회에 국무총리 추천 요청 ▷김병준 총리 지명 철회 등을 요구했다.
김 전 대표가 최근 비주류 모임, 대권 주자 회동을 통해 비박계 구심점 역할을 해 왔다는 점에서 대통령과 친박 주류를 상대로 본격적인 행동에 착수한 것으로 정치권은 받아들이고 있다. 이에 앞서 김 전 대표와 가까운 강석호 최고위원은 김 전 대표의 회견 직전 최고위원직 사퇴를 전격 선언했다. 강 최고위원은 "청와대 인적 쇄신문제는 당에서 건의한 대로 됐고, 우리 당 지도부는 소임을 다했다"면서 "새로운 인물로 당명, 당 로고까지 바꾸는 혁신적 작업이 없다면 대선에서 돌아선 민심을 다시 되돌리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선출직 최고위원 가운데 유일한 비박계인 강 최고위원이 사퇴함에 따라 지도부에는 친박계만 남게 돼 지도부로서는 정치적 부담이 더욱 커졌다.
이날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한 정진석 원내대표 역시 기자간담회를 갖고 "대통령의 2선 후퇴는 피할 수 없다. 대통령이 거국중립내각을 꾸리는 수순을 밟고 있다면 궁극적으로 당적 정리 문제도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비박계 등이 이날 박 대통령과 당 지도부를 향해 동시다발적으로 목소리를 낸 데 대해 친박계 주축인 최고위원회는 반대 입장을 밝혀 '최순실 사태'에 따른 당내 균열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선 여야 영수회담이 야당의 반대로 무산 위기에 처하면서 청와대가 '김병준 총리' 카드를 접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또 검찰의 '최순실 게이트' 수사가 속도를 내면서 '방어막' 역할을 해온 이정현 대표 체제도 사퇴 압박을 받아 박 대통령이 고립무원의 처지로 몰리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