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야권은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가 미국발 '트럼프 변수'에 파묻히지 않을까 고심하며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도널드 트럼프의 차기 미국 대통령 당선으로 우려되는 대내외 불확실성을 강조하며 국정 공백 해소와 리더십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라도 박 대통령이 빨리 2선으로 물러나야 한다는 논리를 부각시켰다. 더불어 여의도 밖 장외 투쟁에 적극 나서면서 여론몰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야권은 여권이 트럼프 현상을 최대한 부각하며 국면 전환 시도를 강화할 것이 예상되는 만큼 이슈 선점에서 밀리지 않겠다는 뜻을 확인하면서 트럼프 현상을 기존 정치권에 실망한 국민의 염원이 표출된 것으로 해석, 정권 교체의 당위성 소재로 삼겠다는 의지를 내보이고 있다. 트럼프 돌발변수가 모든 이슈를 빨아들여 야권이 애써 잡은 정국 주도권을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의총에서 "미 대선 결과에 과도한 불안을 안 느꼈으면 좋겠다"며 "트럼프 발언은 대선용 발언으로 마치 큰 변화가 생길 듯 호들갑 떨 일은 아니다"고 말했다. 우 원내대표는 트럼프 당선이 기존 정치권에 실망한 국민의 염원이 표출된 것으로 해석하며 이를 '촛불민심'에 대입해 정권 교체의 당위성 소재로 삼았다.
국민의당도 박 대통령의 결단을 재차 요구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트럼프 당선은 오히려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것이다. 사업가 출신이라 실리적 접근을 할 것"이라며 "문제는 우리나라 대통령이다. APEC도 못 가는 대통령은 그 위치를 스스로 내려놔야 한다"고 주장했다.
야권은 촛불집회 등 '장외 투쟁'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장외 집회 이후에도 대통령의 태도 변화가 없을 경우 마땅찮은 '다음 수'는 고민이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는 서울 홍대입구역 앞에서 박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오프라인 서명 운동을 벌였다. 안 전 대표는 서명 운동에서 "트럼프 당선인과 빠른 시간 내에 외교협상들을 해야 되는데, 이미 트럼프 당선인은 박 대통령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이런 상황을 빨리 수습하기 위해 조기에 박 대통령이 물러나는 게 최선"이라고 말했다. 당 차원에서는 12일로 예정된 광화문 촛불집회에 당력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민주당도 12일 당원대회 이후 촛불집회까지 최대한 참여해 현 시국에 대한 당의 입장을 명확히 전달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다만, 당 지도부의 촛불집회 참여 여부에 대해서는 좀 더 논의를 거쳐 확정하기로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