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금융위원장(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내정자)이 정부가 보유한 우리은행 잔여지분 21%를 이른 시일 내에 매각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임 위원장은 13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 참석해 "12월 중순까지 예정된 매각 절차를 차질없이 마무리하고 시장과 투자자들에게 매각 과정에서 약속한 것을 반드시 이행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공자위는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29.7%를 한화생명,한국투자증권,키움증권,동양생명(중국 안방보험이 대주주),IMM 프라이빗 에쿼티 등 7개 투자자에 매각하기로 의결했다.
정부가 금융기관 부실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우리금융지주 지분을 100% 매입한 2001년 이후 15년 8개월 만에 우리은행이 민영화에 성공한 것이다.
공자위에서 임 위원장은 우리은행 경영에 자율권을 주겠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예보와 우리은행 간 경영정상화 이행 약정(MOU) 해제,과점주주 추천 사외이사의 신속한 선임,과점주주 추천 사외이사 중심의 경영 지원체제를 확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예보가 잔여지분 21.4%를 보유하고 있다고 하나,이는 공적자금 회수를 위한 보유분"이라며 "예보는 공적자금 관리를 위한 필요 최소한의 역할만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 위원장은 "예보 보유 잔여지분은 공적자금 회수 측면을 고려해 공자위 논의를 거쳐 이른 시일 내에 매각을 추진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과점주주들 중심의 자율적 경영체제가 유지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예보의 잔여지분(21.4%)을 통해 앞으로 추가 이익을 얻어 매각할 경우 공적자금 회수율 100% 달성도 무난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 위원장은 지분을 4∼8%씩 쪼개 파는 과점주주 매각 방식에 대해 "인수·합병(M&A) 또는 블록딜 방식만 존재했던 시장에선 생소한 접근법이었지만 매각 가능성을높이기 위해 도입했다"며 "새로운 금융회사 지배구조 모델의 성공 여부는 이제 과점주주들에게 맡겨져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