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청와대 회담 취소한 민주당, 무엇을 바라나

'최순실 사태'의 수습책 마련을 위해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제안한 15일 영수회담이 당내 반발에 밀려 전격 취소됐다. 이번 회담에서 국가적 혼란을 조기에 진정시키는 것은 물론 차기 대통령선거도 국민의 선택권이 충분히 보장된 상황에서 치를 수 있는 '질서 있는 수습'이 논의될 것으로 기대됐으나 물거품이 됐다. 이로써 최순실 국정 농단에 따른 국정 공백도 당분간 계속될 수밖에 없게 됐다.

민주당이 내건 회담 철회의 명분은 회담이 박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민심을 거스르고 야권 공조를 깨뜨린다는 것이다. '촛불 민심'에 응해야 한다는 그럴 듯한 이유를 내세웠으나 그 속내는 다른 데 있다는 의심을 지울 수가 없다. 바로 박 대통령의 즉각 하야이다. 그렇게 되면 60일 이내에 대선을 치러야 하는데 지금 상황에서는 민주당의 승리 가능성이 가장 높다. 민주당이 당론을 박 대통령의 '2선 후퇴'에서 '즉각 퇴진'으로 변경한 것은 이와 무관치 않을 것이다.

이는 가장 바람직한 해법으로 거론되는 박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을 무위로 돌리는 것이다.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당선으로 우리의 외교'안보'경제 등 국정 전반의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조속한 국정 안정이 필요하다는 요구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런 전환기적 상황에서 요구되는 '최순실 정국' 해법은 박 대통령의 너무 이른 퇴진도, 너무 늦은 퇴진도 아닌 적절한 시점의 퇴진이다. 너무 이른 퇴진이면 국민은 대선 후보를 검증할 기회도 얻지 못한 채 차기 대통령을 선택해야 한다. 너무 늦은 퇴진이면 박 대통령을 한시라도 대통령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민심을 거스르는 것이다.

양자 영수회담의 전격 취소는 야당의 목적이 현 시국을 가장 합리적으로 해결하려는데 있지 않고 정치적 반대급부를 챙기는 데 있다는 의심을 더욱 부추길 것이다. 야당이 이렇게 사태를 자신들에게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만 풀려고 한다면 차라리 탄핵 절차를 밟는 것이 더 깨끗하다. 야당은 어떤 해법이 국민을 위해 가장 바람직한지 숙고하기 바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