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로 꼬인 정국에서 '영수회담 무산 쇼크' 등으로 좀처럼 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1, 2차 대국민 담화에 이어 '여야 합의 국무총리 추천'을 통한 책임총리제, 검찰수사와 특검 수용을 통해 최순실 사태로 빚어진 파행 정국을 돌파해보려고 시도했다. 하지만 사실상 2선 후퇴에 해당하는 책임총리나 중립내각 수용 방침을 밝혔는데도 정국수습은커녕 12일 100만 촛불집회를 계기로 성난 민심이 '박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면서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이런 가운데 박 대통령이 이미 제안해놓은 여야 영수회담에 대해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단독 영수회담을 전격 제의했고, 박 대통령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정국 수습의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다른 야당과 당내 반발로 무산되면서 박 대통령과 청와대는 사태 수습의 고리를 찾지 못한 채 충격에 빠졌다.
박 대통령은 이번 회담을 통해 여야 합의에 의한 총리 추천과 야권이 요구하는 수습책의 일부도 수용하면서 정치권과의 타협책 또는 해법의 실마리를 찾길 기대했던 터였다.
하지만 영수회담 무산을 계기로 박 대통령에 대한 '질서있는 퇴진'에 야3당의 공조 목소리가 오히려 공고해지면서 꼬인 정국이 더 혼돈 속으로 빠져들게 됐다. 게다가 검찰 조사와 함께 특검, 국정조사까지 예고되면서 박 대통령의 '결단'을 요구하는 족쇄는 더 죄어오고 있는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책임총리제나 거국중립내각을 통한 사실상의 2선 후퇴마저 정치권은 물론 국민들이 받아들일 공산이 크지 않다는 데 박 대통령의 고심이 커지고 있다.
야권에 이어 여권조차도 사실상 박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고, 검찰 수사까지 앞둔 박 대통령이 어떤 선택이나 결단을 할지 주목되는 시점이다.
현재 박 대통령이 '하야' 등 자발적인 퇴진을 염두에 두지 않고 있는 상황을 감안할 때, 외교'안보 분야 등 내치를 제외한 국정 운영을 밀어붙이면서 비판을 감수하고라도 정치권의 탄핵이나 퇴진운동에 대해 '헌법정신'을 계속 내세우며 대응할 가능성도 있어 국정혼란은 더 심화될 여지가 많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