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력 운동을 안 해본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해본 사람은 없을 것이다." 요즘 내가 우스갯소리로 하는 말이다. 살을 빼고 싶다는 친구에게도, 체력이 약해졌다는 친구에게도 근력 운동을 추천했다. 그야말로 '운동 전도사'나 다름없다. 다만 마지막에 꼭 붙이는 말이 있다. "운동 효과는 단계적으로 나타난다."
단적인 예가 내 몸무게다. 몸무게는 계단처럼 늘어났다. 당장 운동 효과가 나타나지 않더라도 포기하지 말고 인내로 버텨야 한다.
몸무게는 46㎏ 고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스스로는 굉장히 만족하고 있지만 주변에서는 50㎏ 이상 살을 찌우라고 한다. 겉으로 보기에 '말라깽이'였던 예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게 이유다. 한 트레이너는 "운동을 꾸준히 하면서 지금보다 10㎏만 더 찌우면 건강미가 넘치는 몸매가 될 것"이라며 "매일 밤 자기 전에 라면 하나씩 끓여 먹으라"고 농담도 했다.
남들이 뭐라고 해도 내 목표는 뚜렷하고 확실하다. 신장 164㎝, 몸무게 47㎏의 김연아 선수. 김연아 선수의 체격부터 인성, 능력까지 모든 면을 동경하는 나는 '김연아 체격 따라잡기'를 목표로 임하고 있다. 그러니 몸무게는 40㎏대를 유지하며 날씬하면서도 탄탄한 몸매를 만들 것이다.
이번 주에는 양팔 근력 운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지금까지는 근육 발달을 위해 하체 운동에 집중했기 때문에 팔 운동에는 소홀한 면이 있었다. 몇 주째 반복하던 스쿼트와 데드리프트 등 하체 위주의 운동이 지겨워질 시점이라 새로운 운동이 반가웠다. 더구나 팔이 많이 가는 편이라 튼실한 팔을 갖고 싶다는 기대와 의욕을 안고 팔 운동을 시작했다.
하지만 운동 바보가 어디 갈까. 첫 시간부터 "어디 불편한 사람 같다"는 말을 들었다. 어정쩡한 자세로 덤벨을 들고 팔을 이리저리 휘젓는 모습이 가관이었다. 근육이 부족한 앙상한 팔로 운동을 하려니 1㎏짜리 덤벨도 버거웠다.
'못 하면 노력이라도 해야지'하는 마음으로 집에 1.5㎏ 덤벨을 갖다 두고 틈이 날 때마다 팔 운동을 하고 있다. 무릎이 아파 스쿼트 20개도 제대로 못했던 내가 스쿼트 지옥을 거쳐 강철 다리를 갖게 됐으니, 강철 팔이라고 갖지 못할 이유가 없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