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자체 탄핵안 만들까, 野 탄핵안에 공동발의 할까

새누리 비상시국회의 방식 관심

새누리당 비주류 중심의 비상시국회의가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에 찬성하고 세력을 모으면서 과연 어떤 방식으로 표결에 참여할지 관심사로 떠올랐다.

본회의에서 탄핵안 표결이 실시될 경우 참여해 찬반 의사를 표시하는 수준을 넘어 적극성을 보이기 위해 자체 탄핵안을 만들거나, 또는 야권이 성안한 탄핵안에 공동발의자로 서명하는 방식이 거론된다.

표결에만 참여한다면 무기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어떤 의사를 표시했는지 알기 어렵지만, 나머지의 경우에는 같은 무기명 투표라도 사전에 의사를 나타냄으로써 더욱 강제성을 갖는 효과를 낳는다.

실제 지난 2004년 3월 당시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을 발의할 때도 한나라당(새누리당의 전신)과 민주당이 공동 발의했으며, 당시 여당인 열린우리당 소속은 단 한 명도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

물론 현재는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여당 내에서도 지지하는 의원이 있다는 점에서 당시와 정치적인 상황은 다르지만 정권 창출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했던 의원들이 탄핵안 성안이나 공동발의까지 참여하면 지역 내 열성 새누리당 지지자들로부터 거센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실제로 새누리당의 정치적 텃밭인 영남 지역에서는 드러내놓지는 않지만, 여전히 일부에서는 박 대통령을 지지하는 정서가 있어 탄핵에 찬성한다고 해도 발의에는 거부감을 드러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아예 비주류 전체가 표결에만 참여함으로써 보조를 맞추자는 의견이 강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탄핵안 발의를 놓고 비주류와 이에 반대하는 친박(친박근혜)계가 강하게 충돌하면서 결국 집단 탈당이 불가피할 경우에는 공동발의까지 감수하면서 선명성을 강조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