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과·달걀·마… 소비자와 직거래, 농한기 없어진 농촌, 알짜 수익

안동 지역 인터넷 판매 250여개…농특산물 믿을 수 있고 값도 싸

농특산물 인터넷 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농촌에 농한기가 사라졌다. 인터넷 직거래를 통해 생산자는 유통 중간단계를 거치지 않아 제값을 받아 좋고, 소비자들은 믿을 수 있는 먹거리를 싼값에 구입할 수 있어 갈수록 인기를 얻고 있다.

안동 풍산읍 죽전리에서 사과를 재배하는 손병규(56)'진희영(48) 씨 부부는 사과 수확이 끝나고도 바쁜 일상을 보내고 있다. 오전 5시면 일어나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들어온 주문량을 택배로 보내기 위한 포장 작업을 시작한다. 선별과정을 거쳐 한 주 동안 들어온 50∼60개 상자 작업을 정성껏 하다 보면 오전이 훌쩍 지난다. 포장된 사과는 오후 3시쯤 우체국에서 가지러 오거나 물량이 많으면 화물차로 직접 우체국까지 운반해 택배로 보낸다.

이들 부부는 '사과공주'라는 브랜드로 지난 2011년부터 인터넷 직거래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 생산된 부사는 10㎏들이 한 상자 당 3만5천~4만3천원을 받고, 5㎏들이는 2만5천원 선에 판매한다. 안동시농산물도매시장에 출하되는 20㎏들이 한 상자당 평균 가격이 3만원에 못 미치는 것을 감안하면 포장비와 택배비를 제외하고도 30% 이상 소득이 높다. 연간 5천만원 이상의 거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와룡면 이상리로 귀농한 새내기 농부 이선영(32) 씨 부부도 안동의 특산물인 산약을 직접 재배해 '태왕농산'이라는 브랜드로 인터넷 판매를 하고 있다. 최근 산약 수확이 끝나고 매달 100건 이상의 주문이 쏟아지며, 월 400만원 정도의 알짜 수익을 올리고 있다.

5년 전 학가산 아래 천주마을로 귀농해 재래 토종닭을 방사해 키우고 있는 김모미(53) 씨가 운영하는 '모미농원'도 매출이 쏠쏠하다. 5천㎡ 산속에 방사한 토종닭들이 낳은 유정란이 매일 400개. 1개당 600원에 판매한다. 모미농원 유정란이 입소문을 타면서 물량이 달릴 정도다. 한방 토종닭 백숙을 집에서 손쉽게 먹을 수 있는 상품도 인기를 얻고 있다.

지금까지 안동시에 등록된 통신판매업체는 모두 1천134개에 이른다. 이 가운데 사과'산약'우슬 등 농산물 판매 사이트는 400개가 조금 넘는다. 주목되는 것은 직접 생산한 농산물을 인터넷이나 통신 등을 통해 판매에 나서고 있는 농가도 250여 개에 이르고 있다는 것이다.

안동시 관계자는 "농민들이 어렵게 생산한 농산물이 제값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 도울 것"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