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박근혜 대통령이 여당 지도부와의 면담에서 '탄핵 가결 시 수용' 의사를 밝히면서 가'부결 결정을 짓지 못한 의원들의 선택에 영향을 줄지가 관심이다.
일단 9일 탄핵안 본회의 상정은 기정사실화됐고 새누리당은 의원들의 투표 참여는 강제하지 않겠다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했다.
정치권의 분석은 탄핵 가결이 대세다. 야당이 탄핵 가결에 공조를 확고히 하고 있고, 새누리당 비주류가 탄핵에 힘을 실으며 가결에 필요한 새누리당 28표도 확보했다는 분석이다. 비주류 쪽에서는 친박계 일부도 가결에 동참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으며 이를 모두 합쳐 220표까지 이를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이날 박 대통령이 4차 담화를 발표할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탄핵 입장을 전한 것도 탄핵 가결에 캐스팅보트를 쥔 비주류가 '탄핵 외길' 방침을 표명, 탄핵안 가결 가능성이 커진 때문이라는 해석이 있다.
가결이냐 부결이냐를 두고 여당과 야당, 또 당내 계파 간 수싸움도 치열하다. 부결 시엔 성난 촛불 민심이 청와대에 이어 정치권으로 빠르게 확산돼 정국은 그야말로 패닉 상태에 빠질 수 있다. 새누리당에 대한 심판론은 물론 야권에 대한 책임론까지 걷잡을 수 없이 커지면서 여야 모두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특히 탄핵안에 공개적으로 반대한 친박계는 물론 탄핵안 가결에 열쇠를 쥐었던 비주류도 거센 비난 여론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고려한 듯 비주류 중심의 비상시국위원회 대변인 격인 황영철 의원은 "흔들림 없이 탄핵이 가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최근 야당 일각에서 탄핵을 부결시키기 위한 시도가 있다는 얘기가 들리는데 사실이 아니길 바란다"고 말했다. 비박계는 탄핵 단일대오를 유지하기 위해 '탄핵 찬성' 명단을 공개할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부결에 정치적 의도가 담긴다면 혼란은 극대화될 수 있다. 무기명 투표인 만큼 표 수를 두고 이전투구가 벌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야당과 비주류가 계산한 표 수가 나온다면 그에 따른 해석은 쉽지만, 예상보다 찬성표가 적거나 부결에 대한 책임론이 새누리당에 더 치명적이라고 판단한 야당에서 이탈표가 나올 경우 그 결과를 두고 여와 야, 또 계파 간 공방이 벌어질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