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앞서 치른 6, 9월 모의평가의 난이도와 일관성을 유지했습니다."
이용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능 기획분석실장은 7일 성적발표에 앞서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채점 결과를 설명하면서 "탐구영역에서 과목 간 표준점수 최고점 차이가 줄어들어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 현상이 상당히 완화됐다"고 평가했다.
다음은 이 실장과의 일문일답.
-몇 문제 정도 틀리면 국'영'수 영역에서 1등급을 받을 수 있나.
▷대략 2개 정도 틀리면 1등급을 받을 수 있다. 실수로부터 점수가 좌우되는 것에서는 자유로운 시험이었다고 보고 있다. 국'영'수 영역에서는 표준점수 최고점자를 만점자로 보면 될 것 같다.
-한국사는 표준점수를 공개하지 않았는데 성적 분포는.
▷한국사는 1등급이 21% 정도다. 대부분 대학이 (만점으로) 적용하는 3등급 누적 비율은 58% 정도 나온다.
-올해 시험이 어렵다는 평가가 나왔다. '쉬운 수능' 기조를 벗어난 것인가.
▷국어는 모의평가의 난이도와 비교하면 표준점수 최고점 기준으로 6, 9월 모의평가 때와 1, 2점 차이가 난다. 이런 점에서 난이도의 일관성이 잘 유지됐다고 본다. 수학과 영어 영역도 지난해 수능 표준점수 최고점을 기준으로 할 때 2, 3점 정도 차이가 난다. 전체 출제 기조가 잘 유지됐고 그 안에서 진폭이 있었던 정도다. 수학 나형이 너무 어려웠다는 평가가 있었는데 실제 수학 나형은 지난해보다 표준점수 최고점이 하락했다. 표준점수 최고점 하락은 지난해보다 쉬웠다는 의미다. 학생들 입장에서 풀기는 어려웠지만, 성적은 더 잘 나온 시험이 아니었나 싶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