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신 대구공항 부지 선정, 미래 활용성이 가장 큰 잣대 돼야

대구공항 이전 후보지 경쟁이 치열하다. 후보지 용역 마감이 16일로 다가오면서 대구 인근 시'군들이 잇달아 유치전에 뛰어들고 있다. 의성군 공항유치추진위원회는 7일 대구시에 대구공항 이전 찬성 서명서를 전달했다. 그동안 후보지에서 제외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던 영천시도 이날 대구공항 통합유치위원회 총회를 열고 공항 유치에 가세했다. 군위군 소보면 공항유치위원회는 이미 'K2'대구공항통합이전 유치를 위한 호소문'을 국방부와 대구시 등에 전달한 바 있다. 천덕꾸러기처럼 여겨지던 대구공항에 각 지자체의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각 시'군이 공항 유치를 희망하는 것은 갈수록 쪼그라드는 지역세를 되돌리기 위해서다. 열악한 재정으로 미래 존립 자체가 불투명한 지자체로서는 장기적으로 공항 유치만한 호재를 찾기 어렵다. 인구 2만4천 명에 불과한 군위가 공항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의성 역시 전국에서 가장 먼저 인구가 소멸될 지자체로 꼽히면서 신공항 유치로 돌파구를 마련하려 한다.

실제로 공항 이전 효과는 이들 지자체의 기대에 부응할 것이란 전망이다. 국방부는 공항 이전 시 유발되는 경제효과가 약 1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공항 이전에 따른 생산 유발액이 연 1조2천억원을 넘어서고, 취업 유발 인원도 연간 8천600명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군 장병 및 가족 등 인구 유입에 따라 대규모 주거단지가 조성되고 상권 활성화도 바랄 수 있는 대목이다. 그동안 군 공항 이전으로 인한 소음 문제와 공항 이전에 따른 낙수 효과를 두고 저울질하던 영천이 뒤늦게 합류한 것도 긍정적 측면에 대한 기대가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수 지자체가 공항 유치에 나선 것은 반길 일이다. 그렇지만 부지 선정은 철저히 공항의 미래 활용성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거액의 예산을 들여 지은 신공항이 접근성이 떨어지면 이용객이 외면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이리되면 공항은 거점공항이 아닌 지방공항으로 전락하고, 기대했던 경제 효과도 쪼그라든다. 어렵게 만든 공항을 잘 살리려면 미래 활용성이 부지 선정에 우선돼야 하는 이유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